(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기자 = 금융사고로 홍역을 치러 온 시중은행들이 집안 단속에 나섰다. 핵심성과지표(KPI)에 반영하는 내부통제 항목 비중을 높이거나, 직원 단말기로 자신과 가족 명의 금융거래를 할 수 없게끔 하는 방안 등을 마련하고 있다.

19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과 우리, 하나은행은 영업점에 적용하는 KPI의 내부통제 관련 항목 비중을 늘렸거나 상향 조정하는 안을 추진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영업점 KPI에서 현재 5%로 돼 있는 내부통제 항목 관련 비중을 하반기부터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KPI에 적용하는 윤리경영 항목의 배점을 강화하고, IT보안 항목을 신설해 정보보호와 관련된 평가도 강화했다. 지난달 24일에는 은행장과 전 임직원이 '윤리실천 결의대회'를 열기도 했다.

하나은행은 영업점 KPI에 반영하는 내부통제 항목 비중을 기존 13%에서 18%로 높였다. 준법지원·고객정보보호·불건전영업행위 방지 등의 항목 비중을 전보다 더 많이 반영하기로 했다.

시중은행들은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내부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농협은행은 이달 중으로 창구직원의 자기단말 거래를 제한하는 방안을 시행하기로 했다. 그동안 발생했던 내부 직원의 금융 사고 중 상당수가 창구 직원이 자신의 단말기를 조작해 벌어졌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농협은행은 창구 직원 본인이나 가족 명의로 금융거래를 할 경우에는 자신의 단말기가 아닌 다른 직원의 단말기에서만 할 수 있도록 제한해 사고 예방에 나서기로 했다. 또 부실여신 조기적발에 대한 평가를 영업점 KPI에 반영하고, 영업점 순회 감사자를 지금보다 확대 배치하는 등의 내부통제 방안도 마련했다.

외환은행은 최근 내부통제점검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해 은행 전반의 내부통제 취약점 점검을 주관토록 했다.

김한조 외환은행장은 기존에 있던 내부통제협의회를 확대 개편, 직접 회의를 챙기기로 했다.

국민은행은 금융사고가 발생하면 해당 직원의 본부장급 상위 관리자까지 책임을 묻는 본부 단위 책임 경영 체제를 구축하고, 직원이 스스로 비위 행위를 신고하도록 하는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하는 등 내부통제 강화에 힘쓰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융사건·사고가 누적된 문제에서 발생한만큼 자구책이나 쇄신안으로 당장 사건·사고가 사라지기는 어려울 것이다"면서도 "당장 성과가 나지 않더라도 지속적으로 제도를 보완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mr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