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부가 증시 활성화를 위해 내놓은 단계적 방안의 적용이 시작됐다.

현물시장에서 시간외 단일가 매매의 호가 범위가 확대되고, 매매 체결 주기가 단축된 것을 비롯해 코스닥 바스켓 매매 제도도 시행됐다. 또, K200지수 선물·옵션 장기 결제월물을 도입해 헤지거래 등 다양한 투자수요를 늘릴 수 있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그러나 투자자들이 무엇보다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내년 시행을 목표로 진행 중인 현물 개별 종목의 일일 등락폭 확대 방안이다.

현안대로 하루 등락 제한폭이 상하 30%로 늘어나게 되면 하루 60% 이상 가격이 움직일 수 있고, 이 제도가 정착되면 선진국 시장처럼 상하가격 제한제도 자체를 없애는 쪽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거래량 증가를 위한 방안은 공격적 투기 성향에 따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시장 안팎의 우려다. 변동성 확대는 `투기 세력'에게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주가 변동성이 심한 종목은 대형 우량주가 아니고 주로 개인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중소형 개별주들이다.

미수금을 이용한 매수의 경우 상한가에 사서 하한가에 팔 경우 75% 손실률이 발생하고, 미수금 비율에 따라서는 하루만에 `깡통'도 찰 수 있다.

물론 그렇기 때문에 단타 매매가 성행할 수 있고, 스캘퍼의 데이트레이딩이 활성화될 수 있다.

하지만 변동성 노출은 일반 개인투자자에게 반드시 나쁘지만은 않다는 의견도 있다.

대체적으로, 외국인이 이머징마켓에 투자할 때 변동성 높은 주식을 매입한다는 특성상, 상하한폭이 확대되면 국내 투자자들은 물론 외국인 자금 유입이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다양한 헤지방어를 위해 상하한폭이 늘어날 경우 '직접' 매매와 '간접' 금융상품 매매를 병행하고, 개인들도 작전에 휘말릴 가능성이 적은 대형주 투자도 활발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증시가 개장된 이래 시황을 막론하고 투기세력은 늘 크고 작게 존재해 왔다. 그리고 그 피해는 대부분 개미들에게 돌아갔다.

투기세력과 투기전략은 늘 당국의 감시망과 적발을 피해다녔고 부당한 이득을 취하는 이들은 늘 있어온 게 사실이다. 이번 제도 변경이 투기세력들의 배를 불려주는 계기가 되지 않도록 각별한 후속 대책도 있어야 한다. (산업증권부장)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