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성규 이미란 기자 = 최근 국내 금융업계 화두는 글로벌 금융인의 양성이다.

국내 금융업계는 전통적인 여수신ㆍ수탁ㆍ중개 업무에서 벗어나 운용이나 인수ㆍ합병 등 전문 지식을 갖춘 다양한 업무 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살아남기 위해선 인재를 확보해야 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는 것을 국내 금융업계가 누구보다 잘 아는 것이다.

6일 금융위원회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금융업계는글로벌 금융 인력이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조건으로 외국계 금융기관에 종사하거나 종사 경험이 있는 전문인력과 해외 통용 자격증(CFA, ACPA, FRM 등)을 소지한 금융인력을 꼽았다. 다음으로는 외국어 구사에 능숙한 금융인력 순이었다.

글로벌 금융인력이 얼마나 필요하느냐는 질문에 금융 업계 인력 담당자들은 현재 각 금융기관이 확보한 글로벌 인력에 1.4배(40%)가 더 필요할 것이라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은행연합회가 53.5%로 가장 높은 인력 수요를 보였으며, 여신금융협회 (46.2%), 생보ㆍ손보협회(44.1%)의 순으로 나타났다.

금융투자협회는 17.6%가 부족하다고 답해, 타 업종에 비해 비교적 글로벌 인력의 공급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글로벌 인력의 충원 방법으로는 가장 많은 업체가 국내 교육기관( 대학원, MBA,실무금융교육)과 금융기관 내 교육, 자격증 취득 장려를 꼽았다.

다음으로 해외 한국 인력의 한국내 금융기관 취업 확대, 외국 금융기관의 한국 영업 확대와 인력 유입의 순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금융인 양성을 위해서는 대학과 정부의 역할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우선 대학은 금융 노동시장 환경 분석에 따라 시장 수요가 적은 부문에 공급을 많이 하는 학과(전공) 중심으로 정원 축소 유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재정 중심의 균등 지원보다 경쟁력을 갖춘 대학 중심으로의 집중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부는 재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국가와 금융 경쟁력에 기여할 수 있는 대학을 선택해 지원하는 게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글로벌 금융인력 양성은 대학보다 기본적으로 금융산업 자체의 주도하에 추진되도록 하는 것이 맞다"며 "그러나 금융중심지 조성이나 발전사업의 추진과 금융산업의 경쟁력 강화의 시급성을 감안해 일정기간 정부의 지원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sglee@yna.co.kr

mr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