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관리ㆍ통제 필요…강력한 구조조정 방침

자산 매각ㆍ자금지원 관리 전방위 검토



(서울=연합인포맥스) 고유권 기자 = 정부와 채권단이 세계 3위의 조선업체인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강력한 구조조정 방안을 추진한다.

구조조정 방식은 자율협약(채권단 공동관리) 또는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채권단이 직접 대우조선의 경영을 관리ㆍ통제하겠다는 의미다.

15일 정부와 채권단 등에 따르면 대우조선의 최대주주인 산업은행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금융당국은 대우조선의 부실 규모가 최대 3조원까지 발생할 수 있어 강력한 구조조정의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대우조선은 올해 1분기에 433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2006년 3분기 이후 8년여만에 처음으로 분기 적자를 냈다.

그러나 아직 정확한 집계가 이뤄지지 않았으나 2분기에 최소 1조원에서 최대 3조원 정도의 영업손실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정부와 채권단은 파악하고 있다.

지난 2011년 수주한 해양플랜트에서 약 1조원 가량의 손실을 입은 것을 포함해 그동안 실적에 반영하지 않은 손실 규모가 약 2조원 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은 지난해 4천711억원(연결기준)의 영업이익을 내면서 '조선 빅3' 가운데 최대 실적을 냈다.

현대중공업이 3조2천495억원의 영업손실을 내고 삼성중공업의 영업이익이 1천830억원에 그친 것과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대우조선은 그간 분기별로 선제적으로 부실을 털어내면서 대규모 영업손실 발생을 피해 왔다고 설명을 해 왔으나, 정부와 채권단은 실제 회계에 적절한 부실 규모를 반영해 오지 않았던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와 채권단은 대우조선의 이러한 재무활동에 '의도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회사 차원에서 최고경영자(CEO)의 연임을 위해 부실을 의도적으로 숨겼을 수 있다고 보는 시각이 강하다.

대우조선과 채권단은 올해 3월 고재호 전 사장의 교체와 연임 여부 등을 두고 갈등을 빚어왔다.

정부 관계자는 "경영진에게만 모든 것을 맡겨두기에는 상황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다"면서 "채권단이 주도적으로 경영에 참여해 강력한 구조조정을 시행하는 게 대우조선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와 채권단은 최근 여러 차례 회의를 갖고 대우조선에 대한 구조조정 방식을 어떻게 가져갈지에 대해 논의중이다.

자율협약과 워크아웃 등을 추진할 경우 구조조정 범위를 어느 정도로 할 지, 부실 확대로 인해 부족한 자금을 어떻게 지원할 지 등이 주요 논의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우조선은 올해 7월과 11월 각각 2천억원과 3천억원의 회사채 만기가 돌아온다.

대우조선의 최대주주는 31.5%의 지분을 보유한 산은이며, 금융위원회도 12.2%의 지분을 갖고 있다.

채권단 가운데 가장 많은 여신을 보유한 곳은 수출입은행으로 채권 규모만 약 8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상당 부분은 선수금환급보증(RG)인 것으로 전해졌다.

RG는 조선사가 제때 선박을 건조하지 못할 경우 발주처에서 받았던 선수금을 금융회사가 보증하는 것을 말한다.

pisces738@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