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병극 기자 = 스와프시장 등 파생상품시장 참가자들은 기존 가계대출금리 기준으로써 양도성예금증서(CD)를 대신할 새로운 단기금리를 찾아야 한다는 금융당국의 입장에 불편한 심기를 그대로 드러냈다.

단기기준금리의 변화가 가계대출금리뿐 아니라 스와프시장과 각종 구조화채권의 가격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금리스와프(IRS)와 구조화채권의 변동금리 기준으로 91일짜리 CD금리가 사용되고 있는 탓이다.

CD금리가 사장되면 CD금리와 연동된 수천조원에 이르는 IRS 포지션이나 구조화채권, 나아가 구조화채권 관련 헤지 포지션을 해결할 방안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은행의 신용도나 실제 자금거래와 무관한 통안채와 국고채 등에 대해서 특히 반감을 표시했다. CD금리를 코리보로 대체해 장기적으로 기존 포지션을 이관할 수 있지만, 현재와 같은 호가 제시만으로는 은행의 담합 가능성도 크다고 주장했다.

▲CD 연계된 IRS 포지션은..CD 활성화가 최선 = 스와프시장 참가자들이 걱정하는 것은 기존의 CD금리와 연계된 포지션의 헤지 방안이다. 즉 CD금리가 사라지면 CD금리를 기준으로 거래된 IRS나 구조화채권을 헤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

2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3월말 현재 금융기관의 금리스와프 거래잔액은 무려 4천449조원에 달한다. 가계대출금리 기준으로 CD금리 체계를 바뀌야 한다는 주장에 근거가 됐던 가계대출 잔액보다 4~5배 많은 금액이다.

여기에 각종 구조화채권 및 구조화채권과 관련된 헤지 포지션까지 더하면 현재 CD금리와 연계된 금융기관 파생상품 포지션은 어마어마하다.

A은행 딜러는 "가계대출 때문에 CD금리를 새로운 단기금리로 변경해야 한다고 하지만, CD금리와 연계된 파생상품시장의 규모가 예상을 초월한다"며 "CD금리가 사라진다면 기존의 포지션을 헤지할 수단이 사라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금융당국이 CD금리의 대안을 찾는 논의에서 CD금리에 대해서는 아예 언급을 하지 말라고 하고 있으나, 스와프시장이나 파생상품시장 참가자의 입장에서는 CD금리를 보다 활성화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은행채.코리보 고려..그러나 은행권 담합 우려 = 불가피하게 새로운 대안을 찾는다면 국고채나 통안채보다 은행채나 코리보를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B은행 딜러는 "새로운 단기금리는 은행의 신용도를 반영하면서 실제 자금거래가 이뤄질 수 있는 금리를 대안으로 찾아야 한다"며 "그런 측면에서 국고채와 통안채보다 은행채나 코리보에서 대안을 모색하는 게 낫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 경우 CD금리 연계 포지션을 코리보나 은행채 등 새로운 단기금리랑 연동해 기존의 포지션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C외국계은행 딜러는 "최근 CD금리 대안 찾기는 CD금리 연동대출금리가 지나치게 높은 데서 출발했다"며 "그러나 이는 CD금리의 문제라기보다 시중은행의 가산금리 적용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고, 정책당국도 편의에 따라 CD금리를 관리하려다 보니 91일짜리 CD 발행이 전무해지면서 CD금리의 시장성이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장외파생상품중앙청산소(CCP) 기능이 활성화될 경우 IRS도 일부 포지션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며 "그러나 CD금리가 없어질 경우 기존의 구조화채권의 가격 발견기능이나 헤지 기능이 없어지는 게 여전히 문제"라고 진단했다.

그는 또 "정책당국이 CD가 제대로 유통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면 제대로 된 가격기능이 살아날 것"이라며 "현재 코리보는 시중은행이 호가만 제공하기 때문에 은행의 담합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이를 기준금리로 삼으려면 시장조성 의무 등 실제 자금거래도 이뤄질 수 있도록 특단의 조치가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eco@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eco28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