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다정 기자 = 앞으로 5년간 중국 경제의 가장 큰 위협은 국제통화기금(IMF)체제에 들어간 1997년 한국 처럼 과다한 투자와 차입구조의 문제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정호 KB투자증권 연구원은 10일 보고서에서 지난 5년간 중국은 한국의 1988∼1993년 상황과 비슷했다며 향후 5년간 중국은 IMF체제당시의 우리나라를 답습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제13차5개년 계획(2016∼2020년) 이후 중국의 연간경제 성장률이 2020년까지 평균 6.5%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 연구원은 그러나 중국이 이와 같은 성장률을 달성하려면 넘어야 할 산이 있다고 지적했다.

바로 기형적인 차입구조와 부채 문제이다.

김 연구원은 인민은행이 시중에 유동성을 아무리 풀어도 생산과 투자로 바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로 기형적인 차입구조를 꼽았다.

시중의 낮은 금리로 돈을 조달받아 차입금을 메우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는이야기다.

중국은 산업성장을 거치면서 막대한 규모의 투자를 계속 했다.

그 결과 한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한 투자비율이 무려 45%에 이른다. 선진국 평균이 25%에 그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중국의 투자규모가 그야말로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채를 수요가 확대되는 시점에서 상환할 수 있으면 문제가 되지 않지만, 상환할 수 없으면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정부의 통제가 미치지 못하는 범위, 즉 금융 부문에서의 과도한 부채비중이 심각한 상황에 이른다면 중국의 장기 성장 경로는 훼손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한국도 1997년 외환위기를 겪었던 여러 가지 이유 중 하나로 과잉투자를 들었다.

당시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한해 국내총생산 가운데 투자 비율이 현재의 중국과 같은 45%였기 때문이다.

한국 기업들은 경제성장과 함께 막대한 규모의 자금을 빌려 사업을 영위했다.

그러다가 외환위기를 겪게 되고 뼈를 깎는 구조조정을 하다 보니 고성장 때 쌓인 기업과 은행의 대규모 부실을 털어야 했다.

김 연구원은 "1997년 9월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요청 2개월 전 미국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제기한 한국 기업들의 방대한 차입구조 우려와 부채 상환능력 의문은 현재 중국 기업들의 상황을 떠올리게 한다"고 전했다.

그는 또 "부채 문제를 해결하려면 공급 과잉이 해소돼야 한다"며 "공급과잉은 수요가 증가하거나 생산이 축소돼야 해소가 가능하지만, 수요를 단기간에 끌어올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중국이 시장 우려와는 달리 중고속 성장을 계속한다고 하더라도 우리나라가 중국경제에 너무 지나치게 의존하다가는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dj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