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신흥국들이 내년 글로벌 금융시장의 시한폭탄으로 지목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12월 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하면서 신흥국의 자본이 쓰나미처럼 유출될 것으로 점쳐졌기 때문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신흥국의 과도한 민간 신용이 가장 큰 불안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신중한 처신으로 유명한 이총재가 걱정할 만큼 신흥국의 민간신용은 과도한 유동성 파티를 즐겨온 게 사실이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IMF 미국자금 기준으로 4조달러의 유동성 가운데 1조달러가 신흥국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제수지표(BOP: balance of payments) 기준으로 9.9조 달러 가운데 1.5조 달러도 신흥국에 유입된 것으로 계상됐다. 이머징포트폴리오펀드리서치(EPFR) 증권자금 기준으로도 1.5조달러 가운데 0.2조 달러가 신흥국으로 유입된 것으로 관측됐다.

2009년부터 본격화된 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제로금리 정책으로 유동성이 대거 신흥국으로 유입되면서 주가와 원자재 가격 등이 천정부지로 뛰었다. 유동성 파티를 즐기던 신흥국은 미국이 양적 완화를 축소하기 시작하면서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원자재 상승의 수혜를 보던 신흥국은 2013년 6월부터 시작된 테이퍼 텐트럼(긴축발작) 때부터 고난의 행군을 시작했다. 과묵한 이총재가 신흥국의 민간 신용이 가장 불안하다고 말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브라질은 2014년 말 대비 기업의 부채가 8%p 가까이 늘었고 터키도 6%p 이상 증가했다.

신흥국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던 중국까지 경기둔화에 시달리면서 신흥국의 어려움을 가중하고 있다. 중국이 내수 중심 성장전략으로 선회하면서 중국을 제외한 아시아 9개국의 수출 증가율이 16% 안팎에서 0.9% 정도로 급락했다. 중국과 교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이 어려워진 이유다.





<신흥국으로 유입된 자금이 미국의 금리인상 등으로 유출되기 시작하면 경기 침체와 함께 환율 급등 등 금융시장 불안까지 동반할 수 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기 시작하면 2~3년 내에 늘 위기가 발생했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2004년 5월부터 2006년 7월까지 2년3개월동안 미국의 연방기금금리는 연 1.00%에서 5.25%까지 425bp가 올랐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이어졌다. 앞서 1999년 5월부터 2000년 5월까지 1년 1개월동안 4.75%에서 6.50%로 175bp가 오르면서 IT버블이 붕괴되기 시작했다. 1994년2월부터 1995년 2월까지 1년1개월 동안 3.00%에서 6.00%로 300bp가 오르면서 1995년 남미 위기와 1997년 아시아 위기가 잇따랐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신흥국의 환율(Currency)은 절하될 수 밖에 없다. 여기에 중국(China) 경기가 둔화되고, 원자재(Commodity) 가격까지 하락하면 신흥국은 이른바 '트리플 C'의 삼각파도에 노출되는 것이다.

한국도 신흥국의 범주를 벗어나기 어렵다는 게 글로벌 투자은행(IB)의 대체적인 분석이다.(정책금융부장)

ne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