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다정 기자 = 올해 중국 주식시장은 정부가 뉴노멀 시대를 언급하면서 표현했던 '성장통'이라는 단어에 걸맞게끔 다사다난했다.

개인투자자 중심의 중국 시장은 테마, 이슈에 따라 지수 전체의 등락이 좌우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고 펀더멘털보다는 정부 정책이 강한 영향력을 가지는 특징을 보였다.

28일 정승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세계 최고 수준의 시가총액 규모를 자랑하는 증시의 종합지수 자체가 3~4%대 급등락을 보이는 것이 특별하지 않게 느껴질 정도로 투자자들은 성장통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내성을 키워가는 모습이었다"고 평가했다.

◇ 1분기, 양회 기대감에 증시 상승

올해 1분기 주식시장은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를 앞둔 상황에서 정책 기대감이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상하이종합지수나 선전증시 모두 1월 말 기준 소폭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였으나 3월 말에는 각각 13%, 11% 증가했다.

주가가 급상승하자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회)는 증권사들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등 증시 과열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3월은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언급된 모바일 등 신사업과 관련된 성장주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던 시기였다.

◇ 2분기, 정책 수혜주 급등…버블 국면 진입 후 급락

전인대 폐막 후 증시는 상승 랠리가 재개되고 신용 잔고가 급격히 늘어났다.

경기 지표의 실망감에도 정부의 정책 수혜주들이 급등하면서 과열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6월 초 증감회의 장외신용 청산 조치로 시장이 급락하는 듯했으나 상하이 증시는 다시 전고점(5,126)을 기록했고 신용융자잔고 규모는 연초 1조위안에서 2조3천억위안으로 130% 급증했다.

그러나 며칠 지나지 않아 버블 붕괴가 나타났다.

투기성 성향이 강한 개인들의 매매와 대규모 기업공개(IPO)로 인해 일시적인 수급 공백이 나타났고 정부의 장외신용 청산 조치가 추가로 더해지면서 6월 12일을 기점으로 17거래일 만에 시가총액의 약 3분의 1 정도가 사라질 정도로 공포의 버블 붕괴를 경험했다.

◇ 3분기, 증시 패닉 구간 지속

증시 급락에 따른 정부의 다양한 대응책에도 투자심리는 개선되지 않았다.

7월과 8월은 역사적으로 낙폭이 과다했고, 경제지표 부진과 정부에 대한 신뢰도도 추락해 추가 하락이 지속됐다.

당시 한국 투자자들은 후강퉁에서 4월 이후 순매도로 대응해 중국 증시에 적절하게 대응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 중국 정부는 증시의 급락을 방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책을 펼쳤다.

증권사에 대한 유동성 공급, IPO 중단 및 공매도 제한, 연금, 보험사, 증권사 등을 통해 직접 주식 매입 등 중국 증시는 추가적인 급락이 제한되면서 점차 안정세를 되찾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에 쌓였던 신용잔고와 같은 문제점들이 해소되기도 했다.

지수의 급락 과정에서 신용 물량이 출회되며 후강퉁 시행 시점 당시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여기에다 정부의 신용 물량 규제도 더해지면서 최근에는 지수의 반등에도 과거와 같은 급격한 신용 물량의 확산은 나타나지 않는 상황이다.

◇ 4분기, 정부 정책에 증시 안정화

9월 초에는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며 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방산업과 국유기업 개혁 관련주가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10월에는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5차 전체회의(5중전회)와 여기서 결정된 제13차 5개년 계획(2016~2020년)에 대한 기대감으로 모든 지수가 플러스로 전환했다.

또한, 위안화의 특별인출권(SDR) 편입과 같은 중국 금융시장의 신뢰도를 높이는 결과도 도출되면서 중국 증시는 안정을 찾았다.

정 연구원은 "중국 정부는 12월 들어 중앙경제공작회의 등을 통해 경기 하방에 대한 우려를 경감시켜주고 있고, 증시와 관련해 제도적인 보완들을 통해 시장 전체의 변동성을 완화하는 데 주력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전했다.

그는 "중국 증시는 최근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내년에는 중국 정부의 더욱 적극적인 대내외 정책이 기대되며 이에 관련된 정책 수혜주에 관심을 둬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dj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