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한재영 기자 = '공공기관'인 한국거래소가 장애인을 고용하면서 계약직으로만 채용하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차별없는 고용을 통해 장애인의 사회 진출을 돕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자는 장애인 고용 확대의 취지와는 다른 행태를 보이고 있어서다.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현재 한국거래소에 근무하는 장애인은 총 17명이다. 이 가운데 중증장애인도 7명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채용된 장애인 가운데 정규직은 2명에 불과하다. 계약직 사원 중 7명은 1년짜리 인턴이고 8명은 2년 계약직 사원이다.

공공기관 경영정보개시스템 '알리오(alio)'를 보면 한국거래소는 최근 5년간 2010년을 제외하고는 장애인을 고용하면서 정규직으로 뽑은 경우가 단 한번도 없다.

1년 또는 2년짜리 계약직으로만 채용을 계속해 왔다. 계약기간이 만료되면 재계약 등을 통해 연장을 하는 형태가 아닌 신규 채용을 통해 뽑는 방식을 택해 왔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채용된 장애인들이 하는 업무도 사무보조 등의 단순 업무에 한정돼 있다. 업무의 연속성을 감안한 보직 부여 자체가 어려운 구조다.

정부의 장애인 고용 확대 취지와는 상반된 결과다.

특히 한국거래소는 채용 장애인 가운데 40%가 넘는 비율을 중증장애인으로 채웠는데 이를 두고도 꼼수 논란이 나오고 있다.

장애인 고용촉진법에서는 공공기관은 전체 고용인원중 장애인을 3%로 채우도록 하고 있는데 중증장애인 1명을 고용할 경우 장애인을 2명 채용한 것으로 인정해 주고 있다.

따라서 단순 업무를 보는 계약직 형태의 중증장애인을 많이 채용함으로써 장애인 고용비율을 맞추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것이다.

거래소의 자회사인 코스콤도 상황이 다르지 않다.

코스콤에는 현잰 12명의 장애인이 정규직으로 근무하고 있지만, 최근 5년간 정규직 형태로 장애인을 고용한 사례는 전무하다. 과거보다 오히려 고용의 질이 퇴색한 셈이다.

증권업계의 한 관계자는 "거래소가 최근 수년간 장애인 청년인턴을 채용한다고 홍보해 왔지만 사실상 1년짜리 계약직만 양산하는 보여주기식 채용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지적에 거래소 관계자는 "장애인 채용을 확대해야 한다는 공감대는 있지만 업무 특성상 장애인이 수행할 수 있는 직무를 찾기가 쉽지 않다. 정규직 형태로 고용하는 것도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해명했다.

jyha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