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임진년(壬辰年) 새해가 밝았다. 모두 60년 만에 돌아오는 흑룡의 해라며 우리나라에 대운이 들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서울 채권시장 등은 아무도 주목하지 않는 가계부채 대책 등에 따른 각종 변수에 관심을 두고 긴장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우선 기획재정부가 지난해 말에 발표한 가계부채 연착륙 유도 관련 대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재정부는 2011년 9월말 현재 1.6% 수준인 고정금리.비거치식 분할상환 대출 비중을 2016년 30% 수준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올해부터 불과 5년 사이에 가계대출의 고정금리.비거치식 비중을 15배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야심 찬 계획이다.

당장 CD 등에 연동한 변동금리부 가계대출 축소에 따른 변화를 주목해야할 것 같다. 특히 CD금리에 연동해 거래되는 스와프시장 참가자들이 시장환경 변화에 주목해야 할 것 같다.

당국자들이 당장 CD 금리의 한계에 주목하며 코리보,통화채,은행채 등으로 변화를 꾀하고 있다는 점도 큰 변화 가운데 하나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주택금융공사 주도의 MBS( Mortgage-Backed Securities:주택저당증권) 발행물량 증가도 눈여겨봐야 할 것 같다. 이를 위해 이미 정부는 주택금융공사의 자본금 확충을 준비하고 있다. 국고채 중심의 국내 채권시장 수급 구도가 패니메이와프레디맥이 주도한 미국형으로 탈바꿈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대부분 CD 연동의 변동금리부 형태인 가계부채가 900조원에 이르고 가계부채 대비 가처분 소득 비율이 2010년 기준으로 158% 수준이다.

가계부채를 줄여야하는 당국의 절박함 등을 감안하면 올해부터 MBS 발행 물량도 대폭 늘어날 것으로 확실시된다. 이를 위해 주택금융공사는 이미 조달비용 절감을 위한 특단의 대책 등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으로 예금보험공사가 저축은행 사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올해부터 14조원에 이르는 예보채를 본격적으로 발행한다는 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2011년 국고채 발행 의 6분의 1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끝으로 내년 경기 둔화에 따른 적자국채 발행 여부도 주목해야 한다. 당국자들은 적자국채 발행 계획이 없다고 강조하지만 상황변화에 따라 가능성을 완전배제할 수는 없어 보인다. 올해 경제성장전망치가 3.7%였지만 유럽 등의 상황에 따라 3%대도 녹록지 않아 보이기 때문이다.(정책금융부장)

ne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