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태문영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3차 양적 완화가 시행된다 해도 금리가 떨어질 대로 떨어진 현재 상황에서 그 효과는 의심스럽다는 진단이 나왔다.

미국의 5월 고용지표가 시장에 큰 실망을 안겨주면서 화두는 자연스럽게 3차 양적 완화가 됐다.

지난주 발표된 5월 비농업부문 신규 고용자 수는 6만9천명 증가해 1년 만에 최저 증가폭을 기록했으며 실업률은 8.2%로 근 1년 만에 상승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일(미국시간) Fed가 3차 양적 완화로 달성하고자 했던 1차 목표를 시장이 이미 달성했다면서 3차 양적 완화의 효과가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이 목표는 바로 대출을 늘리고 경제 활동을 촉진하고자 금리를 인하하는 것이다.

그러나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이미 약 1.5%로 사상 최저치를 경신했다.

또 오버나이트 연방기금(FF)금리는 지난 3년 반 동안 제로(0)에 머물렀다.

WSJ는 현 상황에서 Fed가 통화 완화 정책을 더 쓰더라도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힘이 한계에 다다랐다는 증거만 더 제공해줄 뿐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금리가 이 정도로 낮은 현상이 나타나게 된 이유가 불길하다고 지적했다.

경기 둔화와 고용 위축뿐만 아니라 유로존 재정 위기도 큰 이유다.

유로존 재정 위기로 생겨난 우려가 투자금 이탈을 촉발해 미 국채 등 안전자산으로 몰리면서 금리가 하락했고 독일 단기 금리는 마이너스(-)로 내려가기도 했다.

Fed가 원하는 대로 금리가 떨어졌지만, 이는 대출과 성장을 촉진하는 쪽으로 작용할 리가 없다.

너무 짙은 불확실성으로 투자자들이 망설이면서 금리가 하락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 상황에서 당국이 금리를 더 내린다고 해서 이득이 될 것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추가 경기부양책이 나오면 고전하는 미국 주식시장은 한동안 뛰지는 몰라도 실물경제가 받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진단됐다.

피어포인트 증권의 스티븐 스탠리 이코노미스트는 지금 추가 완화정책에 나서는 것은 실업률이 높게 유지되는 한 계속 완화 정책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생각으로 무심하게 부양책의 버튼을 누르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10년물 국채금리가 1.5%를 밑돌고 30년물 금리가 2.5% 부근에서 거래되는 상황에서 금리를 인위적으로 이보다 더 낮게 내리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myta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