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유로존 건설업계가 글로벌 금융위기 후 일시적인 경기부양책에 의지했다가 호된 부작용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건설업계도 정부 재정에 의존하기보다 신성장 동력을 찾아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10일 발간한 '유로존 재정위기에 따른 유로존 건설산업 반응 및 국내 건설산업에의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스페인, 프랑스, 독일 등 유로존 국가들이 경기부양을 위해 건설산업에 대규모 재정집행을 단행했으나 반짝 효과 후 오히려 산업 침체의 부메랑을 맞았다"고 경고했다.

특히 부동산 경기 의존도가 높았던 스페인은 위기 후 막대한 재정 지원에도 주택허가 건수가 호황기의 10%로 줄어 재정 탕진의 역효과만 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에 따르면 2008년 10월 불거진 글로벌 금융위기로 경기 침체가 우려되자 유로존 국가들은 2009~10년 동안 GDP의 1.8%에 이르는 확대 재정정책을 펼쳤다.

특히 스페인은 주택경기 악화로 침체를 겪는 건설산업을 활성화해 신규 일자리 20만개를 만들겠다며 80억 유로를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보조금 형태로 지급하는 과감한 정책을 구사했다.

이 같은 재정지원에도 스페인의 건설산업 생산지수는 2007년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었고, 주택허가지수 역시 호황기의 10% 수준인 10.44로 감소해 심각한 침체에 시달리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사회간접자본(SOC) 확충에 180억 유로와 105억 유로를 투입한 독일과 프랑스도 스페인보다는 나았지만 기대했던 만큼의 효과는 거두지 못했다.

SOC 투자 증가에도 토목산업은 하향세를 쉽게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연구소는 국내 건설산업도 정부의 대규모 재정투입이 필요한 사회간접자본 투자나 가계부채를 유발하는 도시재정비 사업에 매달리기보다 해외건설 진출과 주택 에너지 효율화 사업과 같은 신성장 동력 발굴에 주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진단했다.

건산연 빈재익 연구원은 "대형 건설기업들은 지금처럼 해외건설 진출에 집중하고 중소 건설기업들은 주택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효율 향상 등 신성장 동력 개발에 집중한다면 건설업 양극화 해소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권고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