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대도 기자 = 시공순위 26위의 중견 건설사 벽산건설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건설사 구조조정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올해 들어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중인 건설사가 법정관리로 넘어간 경우는 이번이 우림건설과 풍림산업에 이어 3번째다. 작년에는 월드건설이 워크아웃 계획을 견디지 못하고 법정관리 절차에 돌입하기도 했었다.

2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벽산건설은 전일 서울지방법원에 법정관리 개시를 신청했다고 공시했다.

이달말 예정된 47억원의 자금상환 일정에 차질이 빚어졌기 때문이다. 주채권 은행인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국민은행 등 채권단은 1천억원을 지원하려 했으나 의견조율에 난항을 겪었다.

우리은행 업무담당자는 "자금지원이 이뤄지더라도 상거래 채권자 등 비협약 채권자에게 흘러들어갈 가능성 때문에 자금지원이 쉽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미 채권단은 지난 2010년 벽산건설이 워크아웃에 들어간 시점과 작년 7월 총 2천174억원의 자금을 지원한 적이 있다.

근래 건설업계는 워크아웃 건설사의 추가 구조조정에 대한 우려감이 팽배해 있는 상태다.

현재 워크아웃 중인 건설사는 법정관리를 신청한 벽산건설을 제외하고 금호산업과 신동아건설, 고려개발, 남광토건, 진흥기업, 삼호, 한일건설, 동일토건, 중앙건설, 신일건업, 동문건설, 성우종합건설 등 12개사다.

특히 시장에서는 벽산건설과 같이 비협약 채권자의 협조가 필요한 남광토건에 대해서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주채권 은행인 우리은행 관계자는 "채권단에서 300억원의 지원금을 위해 비협약채권자들에게 만기연장을 요구한 상태"라고 짧게 답했다. 우리은행에 따르면 남광토건의 비협약채권은 700억원에 가깝다.

게다가 지난 2009년 발행한 520억원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의 만기가 오는 10월 돌아온다.

하물며 일반 건설사들도 건설업 구조조정의 흐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 13일 이명박 대통령은 "주택 건설업자가 인구당 제일 많은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과잉이다"며 "새로운 부동산 시장 패러다임에 맞춰 건설업계도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작년 워크아웃을 조기졸업한 시공순위 17위의 중견사 경남기업은 대규모 PF대출의 상환 일정이 임박한 상태다.

경남기업은 오는 29일로 예정된 기존 4천억원 PF대출에 1천100억원을 증액한, 총 5천100억원의 리파이낸싱을 대주단에 요구하고 있다.

경남기업 관계자는 "대주단 동의를 전부 얻은데다, 대주단외에서 추가로 몇개 기관이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권 중심의 채권단은 이달 말까지 건설업 전반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를 진행한다.

dd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