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9월 금리 인상이 무산되면서 12월 금리인상 가능성이 유력해졌다. 11월 통화정책 회의가 있긴 하지만 대통령선거(7일) 직전인 1~2일 열린다는 점에서 금리인상 시점으로는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선이 끝나고 난 12월에 금리를 올린다면 연준은 작년에 한차례, 올해 한차례 인상하는데 그쳐 더딘 속도의 금리인상 사이클이라는 비판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제 시장의 핵심 관심사는 내년에 과연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어떻게 될지에 쏠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와 같은 스탠스를 유지할 것인지, 이제까지와 달리 빠른 속도의 금리인상 사이클에 돌입할 것인지, 그에 대한 해답은 미국의 차기 대선 결과를 보면 윤곽이 드러날 것 같다.

현재 박빙의 대선 레이스를 펼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와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는 26일부터 세 차례의 TV 토론을 하게 된다. 국제금융시장은 이 TV 토론에 시선을 집중하고 있다. TV토론 경제 이슈에서 연준의 통화정책과 그에 따른 달러가치 논란이 쟁점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어서다. 익히 알려진 대로 트럼프 후보는 집권하면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을 교체하겠다는 마음을 굳힌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트럼프는 작년부터 여러 차례에 걸쳐 민주당원인 옐런이 정권재창출을 위해 금리 인상을 지연시키고 있다고 주장해 왔다. 이번 TV 토론에서도 이 말을 되풀이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힐러리는 정치권에서 통화정책을 왈가왈부해선 안된다는 입장이다.

국제금융 시장참가자들은 트럼프의 당선은 옐런의 교체를 의미하며, 이는 곧 빠른 속도의 금리인상을 예고하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반면 힐러리의 집권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경제정책 기조를 이어간다는 관점에서 큰 변화가 없다는 시그널이 될 수 있다고 보는 것 같다.

이번 TV 토론에선 한국에 대한 언급도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방위비 분담 문제나 보호무역 이슈에 대해 계속 문제를 제기한 트럼프 후보가 다시 언급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는 중국의 환율조작 문제도 계속 이슈화하고 있는데, 이 문제 역시 간접적으로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중국의 위안화와 한국의 원화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점을 고려할 때 중국에 대한 미국의 환율 경고는 우리나라에도 불가피하게 파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노무라의 권영선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7월 보고서에서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되면 한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힐러리가 어떤 말을 할 것인지도 주목된다. 트럼프의 공세를 의식한 힐러리는 지난 8월 환율조작과 보호무역 부분에서 ▲무역검찰관 임명 ▲맞춤형 보복관세 부과 등을 언급했었다. 트럼프의 경제공약에 미국 민심이 우호적으로 반응하자 나타난 변화다. 적어도 환율과 무역 부분에서는 트럼프와 힐러리 두 후보가 유사한 스탠스로 수렴하고 있는 것이다.

(국제경제부장)

jang73@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