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 2008년 금융위기 후 5년째. 건설업 구조조정은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다. 기본적으로 길어지는 부동산 경기 침체가 구조조정 중인 건설사들에 멍에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업계는 '워크아웃'을 주도하는 채권단의 역할도 크게 아쉽다고 지적하고 있다. 채권회수에만 열을 내면서 알짜 자산을 매각하고, 채권단내 갈등으로 해당 건설사가 더 어려워지는 경우가 잦기 때문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언급한 대로 건설업의 구조조정 흐름을 거스를 수 없더라도 정당한 회생의 기회마저 박탈당하는 것은 너무 가혹하다는 게 업계의 반응이다. 이에 따라 연합인포맥스는 4회에 걸쳐 워크아웃 건설사의 애로사항과 채권단에 바라는 것들을 점검했다.>>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종혁 기자 = 건설업계는 채권단이 기업재무구조개선작업('워크아웃')에 돌입한 건설사의 회생보다 채권회수에 몰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워크아웃'이 '기업살리기'라는 애초 취지와 다르게 진행되면서 고사상태의 건설업계를 더 어렵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5일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이후 시공능력평가 150위 이내에 들면서 워크아웃에 착수한 18개 업체의 사옥과 사업용 토지 등 유형ㆍ재고자산은 3조2천242억원에서 작년말 1조5천829억원으로 반토막이 났다.

이에 대해, '워크아웃' 건설사들은 채권단이 채권회수에만 열을 올리면서 '알짜' 자산을 팔아치운 결과라고 풀이했다.

현재 '워크아웃'을 받는 'A'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작년 수도권에 있는 우량 아파트 사업장을 대형건설사에 매각했다"며 "앞으로 '워크아웃'을 졸업하는데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했던 사업장인데 아쉽다"고 말했다.

건설사는 '알짜 자산'이 팔릴수록 재기의 기회가 점점 멀어지지만, 채권단의 채권회수라는 목적에서 보면 이런 자산부터 팔 수밖에 없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채권단이 '워크아웃'을 선택하는 것은 더 많은 채권을 회수하기 위함"라며 "특히 부동산 경기가 살아날 기미가 안보이는 상황에서 무작정 신규자금을 투입하면서 기다릴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건설업계는 채권단이 채권회수를 하더라도 '기업회생'이라는 취지에 맞게 일정 자금은 해당 건설사로 재투입하는 순환구조가 만들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대한건설협회의 한 관계자는 "공사수입금이나 자산매각대금중 일정부분은 신규사업에 재투자돼야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자생력을 길러 나갈 수 있다"며 "신규사업에 재투자 없이 무차별적인 채권회수가 진행될 경우 기업은 점점 축소되다가 결국은 고사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건설업계는 또 우량사업에 대한 지원 등 다양한 협조가 있어야 서로 '윈윈'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C건설사의 한 관계자는 "수익성과 안정성이 우수한 우량사업에 대한 자금지원과 신규수주에 대한 지급보증, 중도금 대출 지원 등도 있어야 한다"며 "그래야 업체의 경영이 정상화되고, 결과적으로 채권단도 실보다 득이 많을 수 있다"고 말했다.

건설업계는 아울러 최근 정부가 은행이 보유한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채권 2조원 어치를 사주겠다는 발표도 고무적으로 평가했다. 은행들이 2조원의 자금여유가 생긴 만큼 '워크아웃' 건설사를 덜 쪼이는 '온돌효과'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하반기 경제정책 발표에서 2조원을 들여 사업진행이 어려운 시중은행 보유 부실PF사업장을 사들이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단기간내에 회복 기미가 안 보이는 부동산 시장 상황은 큰 걸림돌이다.

한국신용평가는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와 구조조정 제도의 변화 등 여건을 감안할 때 앞으로 건설사의 상환능력에 대해 더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libert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