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성진 기자 = 세계 경제성장의 최대 견인차 구실을 하는 중국과 인도가 동시에 성장 둔화라는 몸살을 앓으면서 대책 마련에 애쓰고 있다.

두 나라 모두 1분기 성장률이 뚝 떨어져 부양책 시행에 골몰해야 할 처지다.

중국은 2000년 이래 연평균 10%의 속도로 무섭게 성장해 오던 국내총생산(GDP)이 올해 1분기에는 2009년 2분기 이래 가장 낮은 8.1% 성장하는 데 그쳤다.

오는 13일 발표되는 2분기 성장률은 7.5%로 하락, '8% 성장률'이 깨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도는 2011~12 회계연도 1분기(올해 1~3월) 성장률이 5.3% 성장률을 기록, 전년 동기의 9.2%에 크게 미달했다.

분기 성장률로는 9년 만에 최저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8일(미국시간) 두 나라가 성장 둔화라는 같은 문제를 겪고 있으나, 부양 여력은 중국이 더 앞선다고 분석했다.

재정 건전성과 인플레이션 등을 고려할 때 재정ㆍ통화 정책을 동원할 여지가 중국이 더 많다는 설명이다.

일단 중국은 GDP 대비 정부부채비율이 인도보다 크게 낮다.

올해 5월 기준 인도는 이 비율이 67.6%에 달해 유럽연합(EU)이 지속 가능한 경제발전을 위해 설정한 건전성 기준치 60%를 이미 넘어섰다.

반면 중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비율은 22%로, 인도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인플레 압력도 중국이 인도보다 크게 낮다.

이날 발표된 중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작년 같은 달 대비 2.2% 상승한 것으로 나와, 2년 만에 물가상승률이 2%대로 낮아졌다.

반면 인도의 CPI 상승률은 지난 5월 10.2%로 두자릿수를 기록했다.

경기부양을 위해 지난 4월 3년 만에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내린 인도중앙은행(RBI)이 지난달 추가로 금리를 내리지 못한 것도 인플레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저널은 설명했다.

인도는 또 지난 회계연도 GDP 대비 재정적자 비율이 목표치인 4.6%를 넘는 5.8%를 기록해 재정지출을 늘리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HSBC의 프레데릭 뉴먼 아시아 경제 담당 헤드는 "인도 정부는 손이 묶여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면서 "세계 경제둔화에 노출이 많이 돼 있을 뿐 아니라 부양책을 쓸 재정 여력이 없어서 경제둔화를 감내할 수박에 없다"고 진단했다.

저널은 인도는 경상수지 적자가 GDP의 4%에 달하면서 루피화 환율이 폭등한 탓에 기업들에는 비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저널은 재정 건전성과 인플레 요인이 아니더라도 중국은 경기부양에서 인도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은 2009년 GDP의 7.7%에 이르던 순수출이 지난해에는 2.6%로 하락하면서 대외의존도가 낮아져 내수 부양을 통해 경제를 끌어올리기가 쉬워졌다는 것이다.

또 중국은 5대 은행 등 주요 기업들을 정부가 소유하고 있어 이들을 통해서 정부 정책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게 장점이라고 저널은 설명했다.

홍콩 소재 싱크탱크 펑글로벌연구소의 루이스 쿠지스 연구원은 "중국은 다른 나라들보다 정책 여력이 매우 많은 나라"라면서 "중국이 부양 여력이 있느냐보다는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지가 문제"라고 말했다.

노무라의 롭 수바라만 아시아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은 저소득 국가에서 중진국으로 진입하고 있어 경제가 둔화하더라도 수긍할 수 있다"면서도 "인도는 성장률이 높아져야지 낮아져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달러-루피 환율 추이(지난해 말~현재)>

※자료: 연합인포맥스 종합차트(화면 5000번)

sjkim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