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이라던 용산 역세권 개발사업의 미래가 투자자들의 손을 떠나 차기 정권의 정치적 결단 몫으로 넘어갔다. 시장에서 해법을 찾기에는 너무 늦었다는 전문가들의 진단도 잇따른다. 차기 정권 인수위원회가 어떤 결정을 내리든 이 사업이 좌초하게 된 과정을 짚어보고 문제점이 불거진 과정을 복기하는 것은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필요하다. 이에 연합인포맥스는 5회에 걸쳐 용산역세권 사업이 좌초하게 된 원인과 갈등에 대해심층 진단한다.>>



(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12조 2천603억 원과 8천531억 원. 둘의 차액은 용산 역세권 개발사업을 둘러싼 코레일(한국철도공사)과 민간 출자사 사이의 간격이다. 사업발주처이자 핵심 주주인 코레일이 자산관리회사(AMC)가 부도를 맞더라도 사업 주도권을 쥐겠다고 언급한 데는 그동안 코레일이 일방적으로 희생했다는 인식이 깔렸다.

코레일은 25일 현재까지 용산사업에 지원을 완료했거나 약정한 금액이 직접투자 1조 1천831억 원, 신용보강 5조 991억 원, 자금 유동성 지원 5조 9천781억 원 등 모두 12조 2천603억 원에 이른다고 추산했다. 하지만 민간 출자사들은 자본금과 전환사채 인수금액을 모두 합쳐 8천646억 원을 투자하는 데 그쳐 주주간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코레일은 용산사업부지 매각 대금 8조 원 중 원리금 6조 3천594억 원의 납부는 2015년 이후로 미뤘다. 이는 시행사인 드림허브 PFV의 자금 사정을 고려해 작년까지 납부된 2조 9천271억 원을 제외한 금액이다.

이마저도 시행사가 원활하게 토지매각대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자산담보부증권(ABS, ABCP) 2조 4천363억 원의 신용보강에 제공했다. 시행사가 파산하면 코레일은 약정에 따라 시행사가 낸 토지대금을 투자자들에게 반환한다.

아직 시공에 들어가지 않은 111층 랜드마크 빌딩은 드림허브의 전환사채(CB) 발행을 전제로 4조 1천607억 원에 매입하기로 미리 약정했다.

작년 9월 1차 발행한 CB 1천500억 원에 대해서는 4천161억 원을 지급했고, 지난 11월 2차 발행이 성공했으면 같은 금액이 PFV에 지급될 예정이었다. 잔금 3조 3천285억 원은 준공 이후 지급하기로 약정됐지만, 이를 기초로 발행되는 매출채권 유동화 증권을 인수하는 형식으로 최대 2조 6천628억 원을 건축허가 시점에서 PFV에 선 투입한다.

이렇게 지원금액이 하나둘씩 늘다 보니 4조 5천억 원에 이르는 철도부채를 해결해 재무건전성을 확보하려던 애초 사업 목적은 실종되고 오히려 용산 역세권 개발 사업이 코레일의 재무구조를 압박하게 됐다.

코레일 고위 관계자는 "이런 식으로 사업이 진행된다면 사업 실무를 맡은 자산관리회사(AMC)가 부도가 나더라도 더는 지원할 수 없다"며 "지금이라도 민간 출자사들은 지분에 맞는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