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통령 당선은 역사적으로 큰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가 화두로 던진 미국 우선주의는 전 세계적으로 국가 우선주의를 촉발하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 세계화의 물결은 잦아들고 국가 간 대결의 시대가 막이 오르고, 노골적으로 국익을 최우선하는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단 얘기다. 그렇게되면 무역, 환율 전쟁 등 다양한 경제적 갈등이 발생할 것이다.

정책적 측면에서도 통화정책을 통한 경기부양이 끝맺음을 맺고 재정 투입을 통한 경제활성화가 대세로 자리잡을 수 있다. 미국의 금융위기 이후 약 10년 간 세계에서 유행했던 통화정책 완화는 이제 무대 뒤로 퇴장하고 그 자리를 재정확대 정책이 자리할 것이란 관측이 많다.

익히 알려졌듯이 트럼프 당선인의 철학은 인위적인 경기활성화다. 도로와 항만, 병원, 학교 등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통해 일자리를 만들고 감세 정책을 통해 경제성장률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필요한 자금은 국채를 발행해 메우겠다는 복안을 가진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미국의 국채금리가 급등하는 건 트럼프의 정책변수를 반영해서다. 10년물 금리는 이미 2%를 넘었고 중장기물이 상승세를 보이며 커브 스티프닝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도 시장금리를 따라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버락 오바마 정부 때 저금리 체제에서 경기가 스스로 살아나기를 기원했다면 트럼프 정부는 인위적인 방식으로 적극적인 경기 부양을 노린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 과정에서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의 부산물이 발생할 수 있다. 끝없이 계속될 것만 같았던 저금리ㆍ저물가 시대는 종언을 고하고 인플레이션 시대를 맞이할 수 있는 것이다.

당연히 세계 각국의 정책과 가격변수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미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에서도 통화정책은 효과가 없으니 재정정책으로 선회해야 한다고 각국 정부에 권고하고 있다. 금리를 낮춰 돈을 풀어봤자 실물경제로 가지 않고 주식과 부동산, 국채시장 등 금융자산으로만 흘러간다는 이유에서다. 트럼프노믹스(트럼프의 경제정책)를 시작으로 재정 투입을 통한 경기부양이 세계적 흐름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앨런 그린스펀 전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미국의 10년물 금리가 최대 5%까지 오를 것이라고 경고했고, '신 채권왕'으로 불리는 제프리 군드라흐 더블라인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6%까지 오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현재 10년물 금리가 2%라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2~3년간 엄청난 속도의 금리상승이 있을 것이란 얘기다.

트럼프의 당선 이후 우리도 그에 맞는 대응전략이 필요하다. 우리도 부동산 등 일부 자산시장에서 저금리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현재 경기 상황을 고려할 때 저금리 체제를 끝내는 것에 부담을 느낄 수 있으나 미국의 금리 상승기에 우리만 마냥 저금리 체제를 유지하기도 곤란한 게 사실이다. 미국의 금리 상승을 기본 시나리오로 전제하고 그 대응책을 모색해야 할 시점인듯 싶다.

(국제경제부장)

jang73@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