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참담하다. 서울과 뉴욕 채권시장 참가자들의 최근 심정일 듯싶다. 미국채 10년물이 일주일 사이에 40bp 가까이 오르는 등 이른바 '트럼프 텐트럼(발작)'에엄청난 평가손을 입은 채권 투자자들은 새파랗게 질리고 있다.

서울과 뉴욕 채권시장 참가자들은 정신을 바짝 차려야할 것 같다. 새삼 주목해야 할 경제지표도 하나 있다. 바로 급증하고 있는 미국의 '가계 및 비영리기관 총부채(Household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otal liabilities)다. 패닉양상을 보이는 채권시장에 해당 지표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에 따르면 가계 및 비영리기관 총부채는 지난 6월30일 14조6천875억7천만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이 서브프라임 모기지로 글로벌금융위기를 촉발한 2008년 9월30일 14조5천816억1천만달러보다 더 많다.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미국 가계의 디레버리징으로 2012년 9월30일 13조5천595억5천만달러 수준까지 줄었다가 최근 가파른 증가세를 보인 것이다.







30년만기 미국의 모기지 이자율도 최근 3.75%까지 오르는 등 가파른 상승세다. 초저금리의 영향으로 미국 가계가 부담하는 이자상환 부담은 아직 크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최근 금리 상승세가 주택저당채권(MBS) 금리에도 도미노식으로 반영되면 사정이 달라질 수 있다. FRB가 연방기금금리(FF)를 올리는 데다 미국채 공급량까지 늘어나면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자는 1조달러에 이르는 사회간접자본 투자를 통해 경기를 활성화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여기에다 법인세를 대폭 인하하는 등 감세정책도 함께 펼치겠다고 한다.

무디스는 지난 7월 보고서에서 트럼프의 경제정책이 급격한 재정적자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감세 정책으로 약 9조5천억달러의 세수 감소로 이어져 재정적자가 최대 6조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모두 미국채 추가 공급으로 이어져 채권투자자와 부채를 가진 미국 가계에 재앙이 될 수 있다. 미국채 추가 공급이 모기지 금리 급등으로 이어져 가계의 상환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트럼프 당선자가 가중되는 가계의 부채 상환 부담을 외면할 수없다는 뜻도 된다.

막말의 대가인 트럼프 당선자가 미국 가계의 부담 등을 살펴 국채 발행 정책만큼이라도 우악스럽지 않게 펼치길 기대해 본다.(정책금융부장)

ne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