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28일 서울채권시장은 한국은행의 통화안정증권(통안채) 입찰 규모를 축소하기로 하면서 단기물 안정이 나타날지 여부에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이 시장안정화조치 카드를 잇달아 꺼냈고 기획재정부도 내달 국고채 발행 규모를 크게 줄이면서 공급측 금리상승 요인은 다소 줄어들 전망이다.

올해 금융시장을 크게 강타한 사건들은 모두 정치적 불확실성이었다. 지난 6월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가 가결되면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됐다. 미 대선 이후 증시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고 미 금리는 지난 2013년 '테이퍼 텐트럼'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라왔다.

이번에는 유로존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부각됐다.

이탈리아는 내달 4일 헌법 개정 국민투표를 시행한다. 마테오 렌치 이탈리아 총리는 개헌 국민투표가 가결되지 않으면 사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프랑스는 내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다. 유로존의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는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문제는 불확실성은 안전자산 선호라는 과거의 공식이 더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브렉시트 당시만 해도 예상치 못했던 변수는 안전자산 선호로 연결됐다. 시장참가자들의 이러한 인식과 달리 미 대선 이후 미 금리는 줄곧 상승 흐름을 타고 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부각된 이탈리아 금리는 중장기 구간에서 하락하면서 안전자산 선호를 반영했지만 프랑스 금리는 독일 국채금리보다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한국은 미 금리상승에 직격탄을 맞은 채권 중 하나다. 정부와 한은은 금리상승 초반에는 우리 금융시장이 이를 감당할 능력이 있다고 밝혔지만 결국 개입에 나서게 됐다. 한은은 3천억원 규모의 통안채 입찰에 나선다. 1조원에서 크게 줄어든 규모다. 기재부도 국고채 3년물 1조3천500억원을 입찰한다. 지난달보다 2천억원 줄어들었다.

여기에 금융위원회도 금리상승에 따른 가계의 상환부담 가능성을 우려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이날 금융개혁추진위원회에 참석해 "최근 금리상승으로 취약계층의 상환부담이 확대될 우려가 있어 연체 차주 보호를 강화하고 서민·취약계층에 대한 금융지원을 확대하는 보완 방안을 함께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당장은 공급 축소에 따른 금리 급등세 진정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국 금리급등이 국내 특정 요인 때문이 아닌 미 금리 상승이라는 외부 변수에 기인한만큼 당국의 개입이 100% 효과를 발휘한다는 보장은 없다. 미 금리가 최근 2.40%에서 지지력을 보이고 있어 한국도 개입 이후 금리 상단을 확인할 가능성이 크지만 미 금리가 다시 상승할 경우 한국 금리도 상승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유일호 부총리는 공공기관 채용정보 박람회에 참석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경제전망을 내놓는다. 한은은 지역경제보고서와 1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를 발표한다.

지난 주말 미국 국채금리는 블랙프라이데이로 조기폐장한 가운데 혼조세를 보였다. 소비지표가 개선될 수 있다는 전망에 뉴욕증시는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다. 미 10년물은 0.65bp 오른 2.3590%, 2년물은 0.74bp 하락한 1.1185%로 마감했다. 10년물은 장 초반 2.40%를 상회하기도 했지만, 금리 레벨이 높아졌다는 인식에 강세 조정을 받았다.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1개월물은 1,176.00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포인트(+0.10원)을 고려하면 전일 서울외환시장 현물환종가(1,177.40원)보다 1.50원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68.96포인트(0.36%) 상승한 19,152.14에 거래를 마쳤다.

1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일보다 배럴당 1.90달러(4%) 하락한 46.06달러에 마쳤다. (정책금융부 금융시장팀 기자)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