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최근 부동산시장에 나도는 '5개의 무덤'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

다름 아닌 인천, 용인, 파주, 고양, 김포의 소위 '빼도 박도 못하는' 미분양 아파트 얘기다. 이곳들은 부동산ㆍ건설업 경기 진단 차원에서 수요 예측 실패로 공급이 늘어났지만, 가구 수 대비 주택공급이 과잉 양상을 띠며 미분양이 격심한 곳이다. 이 지역에 오랫동안 살았던 주민들조차 교통 및 기반시설의 미흡으로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다 보니 이런 괴담은 증폭되고 있다.

어찌 이 지역뿐이랴, 전국적으로 아파트 가격의 향방은 온 국민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시장 침체 소식이 어느 때보다 '으스스'한 것은 이 현상이 일시적이 아니라 기조적이라는 걱정 때문이다.

과거 부동산 필패 신화는 한국경제가 어찌 됐던 성장한다는 기대감에 편승했지만, 이제는 유럽과 미국의 경제가 빚에서 허우적거리는 상황에서 수출로 먹고사는 경제가 무슨 수로 이 수렁에서 벗어나겠느냐는 우려가 뿌리 깊다. 고령화까지 겹쳐 국내ㆍ외 경제가 '레버리징(Leveraging)' 보다는 '디레버리징(Deleveraging)'으로 치달을 것으로 보여 상태가 더욱 악화할 것 같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이러다 보니 특히 금융업계는 각종 부양책에도 꿈적하지 않는 부동산침체가 일차적으로 금융기관의 부실로 직접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바짝 긴장하고 있다.

한국경제의 뇌관인 가계부채 문제는 아파트 가격 향방과 직접 관련이 있는 상황에서 가계부채에서 주택담보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50%가 넘고 있다. 제1금융권의 주택 담보대출 고삐가 조여지자 2금융권인 신협, 새마을금고, 카드, 할부금융사를 통한 대출이 늘어나는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수도권에서만 지역에 따라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전세금 합치면 70% 넘는 곳이 즐비해졌다.

지난주에 기준금리 인하 소식에도 서울 강남권 재건축과 서남부 중대형을 중심으로 아파트 시세가 이번 주에 오히려 떨어졌다. 금리 인하 폭이 작아 파급 효과가 뚜렷하지 않고, 세제 완화 등 부동산 대책이 본격 시행되고 추가 금리 인하가 단행되면 주택가격 하락에 대한 불안 심리가 어느 정도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눈 밝은 수많은 수요자는 유럽발 재정위기, 국내 주택시장의 구조적 침체, 전·월세 쏠림 현상이 한꺼번에 겹치자 아파트 가격이 더 내려가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정책 당국이 아무리 노력해도 이러다가는 수도권 5개 지역뿐 아니라 전국의 모든 아파트 시장이 '무덤'으로 변하지 않을까라는 우려가 커지는 이유다.

아파트를 포함한 자산시장에 패러다임의 큰 변화가 시작되는 서늘한 '납량특집'이 본격적으로 막이 오른 것 같다.

(취재본부장)

tscho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