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30일 서울채권시장은 강세 되돌림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당국의 채권 발행물량 축소가 심리 회복에 도움을 주고 있고, 전일 발표된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도 비둘기파적으로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날 발표된 10월 광공업생산은 전월비 1.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경기 둔화 우려를 키울 수 있다.

전일 공개된 11월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서 일부 금통위원들은 최근 채권금리 상승이 미칠 부정적 파급효과는 크지 않다고 전망하면서 오히려 내대외 경제여건으로 우리 경제의 하방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위원은 "향후 경제 상황이 현재 전망보다 악화될 경우 통화정책의 완화적 기조를 더 강화해야 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채권시장에서는 가계부채 우려로 기준금리 추가 인하 기대감이 사라졌다. 기댈 곳이 사라진 데 따른 심리적 불안에 미 금리 상승이 겹치면서 심리가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됐다. 금통위 의사록을 추가 금리인하 시그널로 받아들이기에는 부족하지만 가계부채 우려로 일관했던 금통위가 하방리스크에 좀 더 집중했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일 발표된 미국의 3분기 성장률 잠정치는 속보치였던 2.9%보다 상향 조정된 3.2%를 나타냈다.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을 뿐만 아니라 2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 경제지표 호조에도 채권금리는 하락했다. 월말 포트폴리오 매수가 유입됐기 때문이다. 미 10년물은 2.32bp 하락한 2.2910%, 2년물은 1.57bp 낮은 1.0871%로 마감했다.

국제유가 하락도 채권 금리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날 열릴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의에서 감산합의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부각되며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1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1.85달러(3.9%) 하락한 45.23달러로 지난 14일 이후 최저치로 마감했다.

제롬 파웰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는 고용시장이 호조를 보이고 물가가 목표치인 2%에 근접한 것은 연준의 금리인상을 시사하며, 금리인상 근거가 지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보다 강화됐다고 밝혔다.

내달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이미 채권가격에 반영됐기 때문에 연준 인사의 발언이 놀라운 것은 아니다.

문제는 내년에 미국이 금리를 몇 차례나 올릴 수 있느냐다.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1분기 0.8%, 2분기 1.4%에 이어 3분기에는 3.2%를 기록했다. 올해 경제성장 속도가 가파르다. 내년 성장이 올해 개선 속도에 따른 기저효과로 다소 줄어든다고 해도 성장이 꾸준히 나타나기만 한다면 연준의 금리인상도 최소 두 차례는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한은이 내달 통화안정증권 발행규모를 얼마나 줄일지도 관건이다. 발행일정이 공개되지 않았지만 채권시장이 한은에 거는 기대감이 크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다. 이후 코리안미러클 발간 보고회에 참석해 축사를 한다. 기재부는 10월 산업활동동향을 내놓는다. 한국은행은 9월말 국제투자대조표를 발표한다.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시장에서 달러-원 1개월물은 1,168.10원에 최종 호가됐다. 최근 1개월물 스와프포인트(+0.05원)을 고려하면 전일 서울외환시장 현물환종가(1,168.50원)보다 0.45원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3.70포인트(0.12%) 상승한 19,121.60에 거래를 마쳤다. (정책금융부 금융시장팀 기자)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