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닭'의 해인 2017년은 우리 경제의 대재앙이 시작된 해로 기록될 수 있다. 돈의 값인 금리가 뛰면서 빚에 의존해 무리하게 부양한 부동산 경기가 곤두박질칠 수 있어서다. 미국은 제로금리 수준이던연방기금금리를 두차례 인상한데 이어 내년에 적어도 세 차례에 걸쳐 추가로 올릴 것이라고 했다. 초저금리 시대의 종언인 셈이다. 국내 금리도 가파르게 오르면서 1천300조원에 이르는 가계부채의 상환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생산가능 인구는 줄기 시작하고 조선.해운.철강 등 주요 수출산업이 쇠락하는 등 경제체질도 이미 허약해졌다. 가계는 기업구조조정에 따른 고용 불안 등으로가처분 소득이줄고 빚 상환 부담만 늘어나는 악순환의 덫에 빠질 수 있다.



◇최경환이 늘린 가계빚 200조원 이제야 상환 부담 가시화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시절 늘린 가계빚만 200조원에 육박한다. 대부분 아파트 분양 등을 통해 늘어난 주택담보대출이다. 2011년말 900조원에 불과했던 가계부채는 1천300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통계상 급증한가계부채는 여태껏 실물경제에는 큰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았다. 최 전부총리 재임시절인 2014년과 2015년에 분양된 아파트의 대부분이 중도금 상환 유예 형태의 금융지원 프로그램과 연계돼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 2017년부터 입주가 시작되는 아파트 38만호의 경우 건설사 등이 유동성을 지원했던 중도금 및 잔금이 고스란히 가계의 상환 부담으로 가시화된다. 그동안 아파트를 분양받았지만 계약금 이외에 돈이 거의 들지 않았던 가계는 이제부터 원리금 상환 부담을 체감하게 된다.

특히 빚을 얻어 투자 수단으로 삼은 이른바 갭투자자들은 긴장해야 한다. 내년부터 전세가격이 집값을 웃도는 이른바 깡통 주택이 속출할 수 있다.



◇인구구조로 본 경제체질은 노약자

우리나라 생산가능 인구는 올해를 정점으로 내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한다. 인구가 줄어 경제활동이 위축되는 이른바 '인구절벽'이 현실화하는 시점이 내년이라는 의미다.

통계청에 따르면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올해 3천763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내년부터 감소해 2065년에 2천62만명으로 줄 것으로 추산됐다. 내년 고령인구는 708만명으로 유소년인구 675만명을 처음 추월하게 된다.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유소년·고령인구를 뜻하는 총부양비도 2015년 36.2명에서 2027년 50.9명, 2032년 60.1명으로 치솟을 것으로 점쳐졌다.

생산가능인구 비중 기준으로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한 때 가장 역동적이었던 우리의 경제체질이노약자 신세로 전락하는 분수령이 내년이다. 자산을 취득할 수요가 그만큼 줄어든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돈값 오르면 자산인플레이션의 대가 치를 것

돈의 값인 금리 상승은 가뜩이나 노쇠해진 우리 경제에 치명타가 될 수 있다. 미국이 글로벌 유동성의 수도 꼭지를 잠그면서 국내 채권시장은 국고채 3년물 기준으로 금리가 50bp나 치솟는 등 몸살을 앓고 있다. 금리가 오르면 자산가격의 버블(거품)은 빠지기 마련이다. 내재가치는 자산의 미래 기대수익률을 반영한 가격이다.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이 내재가치를 비이성적으로 넘어선 버블은 꺼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대부분 실제 버블이 꺼지기 전까지 아무도 버블이 있었는지 알지 못했다. 1990년 이후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이 그랬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그랬다.

이제 미국의 금리 인상을 신호탄으로 전 세계적으로 자산인플레이션의 대가를 치를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 내년은 '닭'의 해이지만 조류독감(AI)까지 겹치는 등 여러모로 '닭'이 반갑지만은 않은 한해가 될 듯 하다.(정책금융부 부장)

ne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