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인포맥스) 이효지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인프라 투자를 공언하면서 정부와 건설업계도 먹거리 확보 전략을 짜는 데 여념이 없다.

16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국토부는 이달 초 경제부처 합동 업무보고에서 해외 인프라시장 진출 확대를 대표 상품으로 내세우고 그동안 활발하지 못했던 미국 등 선진국 시장 진출 전략을 짜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달 중으로 '미국 건설시장 진출전략 수립 연구'라는 용역을 발주, 미국 건설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을 고민하는 한편 해외건설을 지원하기 위한 해외건설 수주 대사도 임명해 건설외교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공공인프라 큰 장이 서는 미국에서 수주 가뭄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북미 시장에서의 해외 수주는 전체의 4.5%에 불과하다.

전미엔지니어협회(ASCE)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노후한 공공인프라를 보수하고 신설하는데 2020년까지 총 3조6천억달러가 필요하지만 1조6천억달러가 부족한 상황이다.





<출처:코트라(KOTRA)>

미국 정부가 인프라 재건을 전담하면 재정 부담이 크기 때문에 2008년 금융위기 이후부터 주정부 차원에서 민관협력사업(PPP, Public-Private Partnership)에 적극적이다.

PPP는 민간이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민자 고속도로 사업처럼 민간 사업자가 기획부터 개발, 건설 등을 거쳐 운영까지 하면서 수익을 회수하는 구조다.

분야별로 에너지 인프라는 2030년까지 4조6천억달러의 투자 수요가 일 것으로 보이며 교통 인프라에는 총 2조9천억원이 투자될 전망이다. 미국 정부는 당장 올해 21세기 친환경 교통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며 민자 참여 확대 정책을 추진할 방침이다.





<출처:코트라>

코트라에 따르면 현재 스페인 등 유럽 기업은 기술경쟁력을 앞세워 환경, 컨설팅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고 일본은 초고속열차 기술, 중국은 가격경쟁력과 자본력, 호주는 선진금융기법으로 미국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미국 내에서 PPP 방식이 확산함에 따라 건설사들이 설계, 시공, 운영뿐 아니라 금융 역량까지 키워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한국이 후발주자인 만큼 현지 기업과의 협력으로 미국 시장에 스며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코트라는 전날 발간한 '트럼프 시대의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 보고서에서 "국책은행, 건설사, 서비스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략해야 한다"며 "건설사는 현지 건설사와 제휴하거나 전략적 인수합병(M&A)을 통해 주(州)·지방정부 프로젝트부터 실적을 쌓으면 대형 프로젝트에 참여할 길이 열릴 수 있다"고 말했다.

hj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