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주택시장의 미입주 리스크가 확산될지 주목됐다. 금융당국의 중도금 대출규제로 수분양자의 자금조달 창구가 좁혀진 가운데 금리부담마저 가중될 것으로 우려되는 까닭이다.

미 연준은 16일 기준금리인 연방기금(FF) 금리를 0.75~1.00%로 25bp(1bp=0.01%포인트) 인상한다고 공개했다. 경제가 전망대로 개선된다면 점진적인 기준금리 인상을 지속할 것이라는 의견도 덧붙였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국내 은행권의 조달금리 상승을 부르고 이는 최종적으로 주택담보대출자의 부담을 가중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작년 4분기 국내시장금리는 50bp가량 올랐다.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과 같은 해 12월 있었던 미 연준의 금리인상 영향이다.

여기에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억제정책이 시행되며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밑돌던 집단대출(중도금) 금리가 작년 12월 기준 3.16%로 15bp 올라 2013년 7월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지난 2015년과 2016년 국내 주택시장에 100만호에 육박하는 신규공급이 있었다는 점, 서울 강남의 재건축 아파트 외 주택가격의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미 금리 인상은 신규분양주택의 입주포기를 높일 수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15일 공개한 보고서에서 "수요가 위축되는 가운데 2015년과 2016년 급증한 분양물량이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입주가 시작되는 점은 수급측면에서 부정적 요인이다"고 평가했다.

한신평은 이미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광역자치단체에서는 미분양 증가, 저조한 초기분양률, 매매가격지수하락 등 조정 양상이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또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미분양관리지역을 포함해 미분양 누적, 전년대비 주택가격 하락 등 위험지역 55곳을 모니터링 대상지역으로 선정했다.

위험지역 입주물량은 올해 15만호, 내년 18만9천호로 건설사별로는 현대건설(58%), 대림산업(54%), 대우건설(51%), GS건설(51%) 순으로 비중이 높다고 설명했다.

한신평은 "미입주 리스크는 올해보다 내년에 높을 것"이라면서도 "전국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다"고 언급했다.

이어 "주택가격이나 분양경기 하락 수준이 폭락이 아닌 조정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지역별로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한국신용평가>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