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선영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들이 달러-원 환율의 변동성 확대가 국내 외환시장의 높은 개방성을 반영한 결과이자 큰 자산이라고 평가한 대목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달러-원 환율은 미국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기준금리 인상을 앞두고 1,130원대에서 1,160원대로 올랐다. 금리인상을 단행 직후인 16일 환율은 장중 10원 이상 급락하는 등 이달들어 극심한 변동성 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 금통위원은 지난 14일 발표된 2월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에서 "달러-원 환율이 시장에 의해 결정되면서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은 불확실성 가운데 있는 우리나라에 큰 자산"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투자 다양화를 위해 해외증권투자가 늘어나고 있고, 고령화 대비로 저축성향이 높고, 내외금리차 축소로 해외투자가 더 확대됨에 따라 경상수지 흑자에도 불구하고 현물시장에서의 환율에 대한 상·하방 압력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같은 역내 상황을 반영하듯 우리의 환율은 글로벌 달러 가치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경상수지 흑자로 들어오는 자금과 해외투자로 나가는 자금 사이의 균형이 이뤄지는 점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해석된다. 고령화 대비로 저축률이 높아지면서 그만큼 국내 금융기관으로 자금이 유입되고, 이 자금이 해외투자로 연결되는 식이다.

그는 "더 나아가 역외 차액결제선물환(NDF) 거래를 받아주는 국내 외국환은행들의 거래가 확대되면서 글로벌 투자자들이 역내 현물시장에서의 환율 결정에도 더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NDF에 내재돼 있는 환율이 스와프시장에 반영된 환율 기대보다 일반적으로 더 공격적이기 때문에 환율 변동성이 더 증가한 측면도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금통위원들은 최근의 환율 변동성 확대가 우리나라 외환시장의 개방도를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또 다른 위원은 원화 변동성이 선진국 수준에 가까운 것으로 평가된다는 관련부서의 분석 결과를 언급하며 "최근 달러-원 환율의 변동성 확대는 글로벌 외환시장의 변동성과 국내 외환시장의 높은 개방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말했다.

그는 달러-원 환율 변동성 확대에 대해 "우리 경제의 취약성보다 원화의 높은 유동성, 낮은 거래비용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경제주체들이 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대외 커뮤니케이션에 힘쓸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최근 환율의 수출경쟁력에 대한 영향이 줄어드는 대신 대외충격 흡수 장치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며 "미국 신정부의 경상수지 흑자국 환율정책에 대한 감시와 압력이 어떤 형태로든 계속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불필요한 오해가 없도록 우리나라 외환시장 상황과 경상수지 흑자 배경을 적극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 금통위원도 "달러-원 환율 변동성 확대는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외환시장의 자생적 복원력 제고 측면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된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는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이 작년 7%내외에서 올해 5%대 후반이 될 것이라는 전망에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의 변화와 그 원인을 면밀히 분석하고, 균형실질환율에 비춰 이를 평가해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금통위원들은 달러-원 환율 변동성이 엔화 등 주요 선진국 대비로는 어떤지, 미 재무부의 환율 보고서에서 심층분석 대상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은 없는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였다.

한 위원은 "달러-원 환율 변동성 확대가 외환시장의 높은 개방성을 반영한 만큼 이를 반드시 부정적으로만 여길 필요는 없다"고 언급한 후 "국제금융시장과 국내금융시장간의 연계관계를 면밀히 분석해 통화정책 차원에서 시사점 모색에도 좀 더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한은은 환율보고서와 관련해서는 "작년에 발표된 교역촉진법에 근거할 때 우리나라가 미국의 심층분석 대상국으로 지정될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고 답변했다.

syju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