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규창 이종혁 기자 = 인수후보인 이랜드와 매각측인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인수합병(M&A) 협상이 결렬될 위기를 맞으면서 쌍용건설의 재무 상태에 대한 업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인수후보측이 예비실사를 통해 파악한 부실에 대해 상당한 액수의 지급보증은 물론 여러 안전장치 등을 매각 측에 무리하게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2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쌍용건설은 지속적인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장의 매각으로 보증을 선 PF대출 잔액이 작년말 1조1천억원대에서 올해 상반기 5천688억원으로 대폭 줄었지만, 실적 부진과 차입금 부담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실적부진에 차입금 부담까지 = 쌍용건설은 2012년 상반기 80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2011년 1천570억원의 손실에 이어 실적이 전혀 개선되지 못했다.

이자를 내야 할 금융부채도 늘고 있다.

쌍용건설은 상반기말 현재 유동부채가 유동자산을 1천557억원을 초과하며 1년 이내에 갚아야 할 사채는 2천157억원에 달한다.

차입금의 만기구조도 나빠졌다.

단기차입금은 올해 1월 1천71억원에 불과했지만 상반기말에는 1천571억원으로, 금융비용도 2011년 상반기말 195억원에서 올해는 302억원으로 50%나 급증했다.

이에 대해, 쌍용건설의 상반기 재무제표를 검토한 삼일회계법인은 검토보고서에 이례적으로 '강조사항'이란 주석까지 달았다.

이 회계법인은 주석에서 "쌍용건설의 금융차입금이 총 5천620억원(금융보증부채 제외)에 달한다"며 "이러한 상황은 계속기업으로서 그 존속능력에 유의적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신규자금 유입 없으면 법정관리= 전문가들은 이랜드와의 협상이 깨진다면 캠코가 유상증자를 하거나 부실자산을 사들이는 등의 방식으로 신규자금을 투입하지 않는다면 쌍용건설이 법정관리에 갈 가능성도 지적했다.

현재 상황에서는 건설ㆍ부동산 경기가 조속히 회복될 가능성이 커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2012년 시공능력평가 13위로 작년보다 순위가 한 단계 올라간 쌍용건설은 이전부터 사업 규모에 비해 자본력이 취약하다는 평가가 많았다.

쌍용건설의 현재 자본은 1천488억원으로 2000년 초반 캠코에 인수된 후 추가 증자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금융위기 후 대우건설(1조원), 두산건설(2천200억), 포스코건설(5천억원) 등은 대거 증자에 나서면서 재무 위기를 타개한 것과 대조된다.

▲고심하는 공자위 = 캠코의 상위 의사결정기구인 공자위는 쌍용건설 유동성 지원에 대해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단 법률상 캠코가 다른 채권금융회사(주식매각협의회)와 함께 유동성을 지원하는데는 문제가 없다.

다만, 캠코는 오는 11월22일 운용시한이 만료되는 부실채권정리기금이나 구조조정기금으로 지원하기 어려운 만큼 고유계정에서 자금을 대야 한다.

캠코는 쌍용건설 발행 보통주 1천490만여주(지분율 50.07%)를 보유하고 있다.

캠코는 언스트앤영-신한금융투자 컨소시엄을 매각 자문사로 선정해 올해 2월과 4월, 6월 입찰을 진행했다. 2월 예비입찰이 M+W그룹만 참여해 유찰되자 우선매수청구권이 있는 쌍용건설 우리사주와 협의해 신주를 발행키로 했다.

그러나 4월 예비입찰은 M+W그룹을 포함해 외국계 3곳이 참여했음에도 최종입찰대상자 2곳 중 한 곳이 포기해 다시 유찰됐고 6월에 실시한 본입찰에도 아무도 참여하지 않았다. 결국, 수의계약 방식으로 전환해 지난달 견적서를 접수했고 이랜드만 참여했다.

scoop21@yna.co.kr

libert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