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건설 현장인력의 고령화가 심각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분야를 전공한 청년 취업률도 50% 수준을 맴돌고 있어 자격증과 인력 진입 등의 제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진단됐다.

22일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자료를 보면 전국 4년제 대학교 토목 관련학과 졸업생의 취업률은 지난 2015년에 47.6%까지 떨어졌다. 2014년에 50%대가 깨졌다. 5년간 지속적인 하락세다. 토목 관련학과는 토목공학과 도시공학 등이다.





국내 사회간접자본(SOC) 투자가 줄다 보니 토목을 전공한 학생들의 취업 문이 좁아졌다. 같은 기간 건축 관련학과(건축·설비 공학, 건축학, 조경학)의 취업률이 상승하긴 했지만, 속도가 더디다.

건설 현장에 청년층이 유입되지 않자 고령화가 심해졌다. 건설근로자공제회에 신고된 피공제자 중 20대는 작년에 10%를 채우지 못했다. 60대는 17.0%까지 높아졌다. 2012년과 비교하면 20대는 0.6%포인트가 줄었고 60대는 3.2%포인트가 늘었다.

청년층에 괜찮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한 제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우선 새로운 직종과 자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김민형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국가기술자격 분야는 기존의 전통적인 건설상품을 대상으로 분류된 것으로 부상하는 신상품 및 건설업의 추이를 반영하거나 업무의 세분화 및 전문화를 통해 새로운 직종 및 자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며 "국가기술자격제도 취득을 위해 요구되는 경력 연한, 시험 과목 및 난이도, 시험의 내용 및 합격률 등 총제적인 검토를 통해 현실에 맞게 개선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단기적으로 직접적인 효과를 보려면 청년층 기술인력 배치를 의무화하는 방안도 김 연구위원은 거론했다. 중소 규모 공사는 기술자 만점 연한을 낮추고 500억원 이상의 대형 공사는 초급 기술자를 의무화하거나 현장운영경기에 포함된 보조요원을 초급 기술자로 대체하는 방안 등이다. 산업과 기술자의 역량 변화에 맞는 교과과정 편성도 과제로 꼽았다.

김 연구위원은 "건설업 내에 청년층 유입을 촉진하면 서민과 취약계층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의 기술 단절을 막아 지속가능한 건설업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한다"고 판단했다.

지난달 국내 실업자 수는 135만명으로 1999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2월 기준으로 사상 최대치다. 청년실업률은 12.3%로 역대 두 번째로 높았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