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대우조선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신규자금 지원을 포함한 추가 지원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백 브리핑을 통해 "대우조선 추가 지원은 국민 경제와 채권 회수 관점에서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직ㆍ간접적으로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했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 1위 조선사의 기술력을 지켜 국민 경제의 경쟁력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이제는 애정과 관심으로 대우조선을 지켜봐야 한다"고 당부했다.

다음은 임 위원장과의 일문일답.

- 앞선 구조조정 실패에 따른 책임 논란을 피할 수 없는데.

▲ 누가 책임질 것인가 하는 질문에는 제가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 자리에서 책임을 미루거나 앞으로 책임을 회피하는 일은 없다. 여러분이 주는 비판이 저희에게 압박과 격려, 부담된다. 하지만 이제는 우리나라 구조조정 문화가 바뀌어야 할 때다. 채권단이 앉아서 추정과 전제로 하는 구조조정은 더는 옳지 않다. 시장 중심적인 구조조정을 통해 살릴 수 있는 기업을 적기에 살리는 것이 중요하다.

- 이번 지원방안 탓에 시중은행은 충당금을 더 쌓아야 한다. 그 피해가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것 아닌가.

▲ 당연히 좋지는 않을 거다. 하지만 대우조선 문제는 예측이 불가능했고, 돌발적으로 발생했다. 이를 빨리 진정시켜야겠다는 생각에 국책은행 중심으로 해결하려 한 것이다. 현재 시중은행이 쌓은 충당금은 3천600억 정도다. 이 정도면 충분히 감당할 수 있겠다는 판단이다.

- 감사의견이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한정' 의견을 받을 경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 최대한의 위험을 노출해 마련한 지원방안이라 감사의견이 더는 나쁘게 나오진 않을 것이다. 설사 '한정' 의견을 받더라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된다. 이미 거래 정지된 종목이라 관리종목에 지정돼도 영향이 없기 때문이다. 8월 말 결산기에 '적정' 의견을 받기 위한 부채비율 조정 등의 치유 과정은 필요하다.

- 향후 거래 재개 시 기준가격은.

▲ (이동훈 과장) 앞서 거래가 중지됐을 때 가격이 4천400원 정도다. 이후 감자가 진행돼 만약 이 상황에서 거래가 재개되면 4만4천원 정도에 거래되겠지만, 앞으로 출자전환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해 정확한 가격을 알 수 없다.

- P-플랜을 적용할 경우 RG 콜 규모에 대한 논란이 있는데.

▲정확한 추정이 어렵다. 114척 중 법률적으로 빌더스 디폴트 조항이 반영된 배가 96척이다. 이 중 얼마나 발주를 취소하는 사례가 나올 것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 법정관리를 갈 경우 이 중 40척의 발주취소를 예상하지만, P-플랜은 법정관리 기간을 단축하는 게 장점인 만큼 그 정도의 발주취소는 나타나지 않을 거다. 우리 역시 선박을 대상으로 설득하는 작업을 이어갈 것이다.

- 조선산업을 전망하는 데 클락슨 외 참고한 자료는 없나.

- 플랜트 발주처는 배가 안정적인가?

▲ 플랜트는 25기 중 11기가 남아있고, 14기는 정리했다. 소난골처럼 대형 프로젝트 선박들이 지연되고 있다. 대부분의 배는 돈을 많이 받았거나 배를 쓸 사람이 정해져있다.

▲ 가장 권위 있는 통계를 제공하는 클락슨을 이번에도 사용했다. 물론 클락슨이 지난해 업황 전망을 틀렸다. 하지만 그만큼 시장 상황이 어려웠던 거다. 우리가 적용한 것은 클락슨이 발표한 지난해 9월 기준의 숫자다. 이달 3월에 새로운 통계가 업데이트되겠지만, 시차 차이 때문에 반영할 수 없었다.

- 향후 국내 조선산업을 빅3에서 빅2로 전환하면 바람직한가.

▲ 지난 2015년 10월에 국책은행 자구노력 중심으로 정상화 계획 세웠고, 하루빨리 주인을 찾자는 생각에 빅2뿐 아니라 여러 가능성 있는 기업에 비공식적으로 타진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인수 가능성 여부를 타진하지 않았다. 이를 위해선 조선업이 나아져야 한다는 시장 전망도 필요하다. 지금은 인수업체 찾기 쉽지 않다. 내년쯤 되면 시황에 대한 기대나 전망이 어느 정도 잡힐 것이다. 매출액을 절반으로 줄여 작지만 단단한 회사가 되는 2018년 이후에는 M&A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한다고 본다. 다만 M&A에 대한 문제는 차기 정부에서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될 것이다.

jsjeo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