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윤구 기자 = 고령화 사회 진입에 대비하고 저성장 기조를 극복하는 차원에서 헬스케어서비스 사업을 보다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보험연구원은 17일 기획재정부 후원으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개최한 '제4차 산업혁명과 헬스케어 활성화' 정책세미나에서 헬스케어서비스 산업과 관련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제도적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미 고령화 사회에 접어든 일본에서는 보험사가 정부기관, 학계, 건강관리서비스사, IT 업체 등과 업무 제휴를 통해 헬스케어서비스와 연계한 상품 개발을 추진 중이다.

소프트뱅크의 경우 스마트폰 등을 통해 수집된 보험가입자의 건강관리 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가입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포인트로 환산해 생명보험사인 주우생명에 제공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헬스케어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과 함께 규제 개혁 등에 나서고 있다.

중국도 헬스케어서비스를 활용한 새로운 독자 수익모델을 성공적으로 만들었다.

알리안츠는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관리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개발했고, 중안보험은 당뇨 환자의 건강상태를 보험료에 반영하고 있다.

정성희 보험연구원 실장은 "우리나라도 고령사회 진입을 대비하고 저성장 시기 경제성장의 견인책으로 헬스케어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이 필수적인 만큼 비의료기관 공급자의 진입장벽 해소를 위한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유신 서강대학교 교수는 "기술·산업 간의 융합이 이뤄지는 4차 산업혁명에 헬스케어서비스는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 부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홍석철 서울대학교 교수는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헬스케어산업 활성화가 필요하므로 규제 완화를 둘러싼 대립은 공감대 형성으로 해결하고 이해관계자의 균형적 역할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

yg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