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신정부 정책·지정학적 리스크 등은 여전히 잠재



(서울=연합인포맥스) 강수지 기자 = 한국은행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금리 인상에도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과거 사례에 비춰볼 때 내외금리차보다 국제 금융시장 불안이 전이되는 경우 대규모 자본유출이 일어났다고 전했다.

미국 신 행정부의 경제정책과 주요 선진국 통화정책, 지정학적 리스크 등 불확실성은 여전히 잠재해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한은은 28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2017년 4월)'에서 앞으로 통화신용정책 운영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 중 하나로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영향을 꼽으며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자본유출 압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과거 자본유출 사례와 현재 대내외 경제상황 등을 종합해 볼 때 대규모 유출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외국인 투자자금은 내외금리차와 달러-원 환율, 글로벌 유동성 등 연준의 금리인상과 직접 관련있는 요인뿐만 아니라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VIX)과 선진국과의 성장률 격차에도 영향을 받는다고 분석했다.

한국은 1990년 이후 1997~1999년과 2008~2009년, 2015~2016년에 걸쳐 세 차례 대규모 자본유출기를 경험했다.

한은은 자본유출기의 특징을 살펴보면, 내외금리차보다는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 전이와 국내 경제의 취약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했다.

한은은 "분석 결과와 현재 금융·경제 상황에 비춰보면, 향후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기조하에서 대규모 자본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장기투자 성향의 공공자금이 크게 늘고 외국인 보유채권의 잔존만기가 장기화되는 등 안정성이 과거에 비해 높아졌다"고 전했다.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해왔던 신흥시장국 경제의 취약성도 지난 2015년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한은은 미국 신정부의 경제정책과 주요 선진국 통화정책, 지정학적 리스크 등과 관련된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 등 자본 유출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부 위험요인이 여전히 잠재해있다고 봤다.

한은은 "글로벌 위험요인이 실현돼 상대적으로 대외취약성이 높은 일부 신흥시장국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경우 전염효과로 한국의 자본유출 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며 "앞으로 위험요인 전개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ssk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