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문재인 정부가 '비정규직 제로(0)'를 공약으로 내걸면서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대기업과 은행 등의 금융권에서도 비정규직 직원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하지만 증권가는 이런 정규직화 바람에서 한 발짝 떨어져 조용한 편이다. 계약직 비중은 다른 업권에 비해 높은 편이지만 정부가 말하는 신분이 불안정한 '비정규직' 기준에 들어맞는 직원은 많지 않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23일 금융투자협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53개 증권사의 임직원 수는 3만2천934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계약직 직원은 약 22%에 해당하는 7천294명이다.

하지만 이들 중에는 고연봉에 자발적으로 그 자리를 택한 이들이 많아 이들을 '비정규직'으로 봐야 하느냐에 대해선 논란의 여지가 있다.

'신분이 불안정한' 비정규직이 아니다 보니 정규직화 시켜준다고 했을 때 더 싫어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A증권사 직원은 "이직이 활발한 증권업계 특성상 한곳에 오래 근무하기보다 차라리 인센티브를 많이 받아 다른 곳으로 옮기고 싶어하는 경우가 더 많다"며 "지금은 매년 계약을 하는 이런 계약직 자리를 정규직화 시킨다고 하면 주위에 싫어할 사람들이 더 많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도 "어떤 사람을 비정규직으로 봐야 하는지 기준이 모호하다. 증권가에서 비정규직이라고 불릴 만한 인력이 많지 않을 것이다. IB 쪽 직원들은 계약직이라고는 하지만, 연봉과 인센티브를 수천만 원씩 가져가는 이들이 많은데 이들을 비정규직으로 볼 수 있겠느냐"고 의구심을 표했다.

이어 "본인들도 (정규직 전환을) 별로 원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문재인 정부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민간인 증권업계에 이를 강제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실제 정규직화 한 곳들은 기업의 부담이 어마어마하게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B증권사 경영관리 관계자도 "증권사에서 연봉을 매년 재계약하는 형태로 정년까지 보장되는 직군을 비정규직으로 보기는 어렵다"며 "증권사에 해당자가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준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 비정규직 직원의 수가 달라질 수 있지만, 콜센터 직원들도 다 정규직인 곳이 있어서 2년 뒤 재계약 안 되면 내보내야 하는 직원들을 비정규직으로 분류하면 수십 명밖에 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산업증권부 김지연 기자)

jy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