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남승표 기자 = 새 정부 출범과 맞물려 주택매매가격이 강세를 보이는 등 주택·건설 연구기관의 전망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건축연령이 오래된 낡은 집일수록 더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나 새 정부의 주택공약이 투기심리를 자극하는 것은 아닌지 주목됐다.

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작년 정부의 11·3 대책 발표 이후 잦아들던 주택매매가격이 올해 3월을 기점으로 급격히 회복되고 있다.

작년 11월 0.15%이던 주택매매가격변동률은 같은 해 12월 0.07%, 올해 1월 0.02%, 2월 0.01%까지 내려오다 3월 0.06%, 4월 0.10%, 5월 0.14%로 회복됐다. 계절적 요인을 감안한 5월 변동률은 0.15%로 규제를 발표했던 작년 11월과 동일했다.







<출처: 한국감정원>



이런 주택매매가격 흐름은 미국발 금리인상, 공급과잉, 주택금융규제 완화 등을 이유로 약세를 예상했던 주요 연구기관의 전망과 어긋났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지난해 11월 발간한 '2017년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수도권은 0.5%가량 소폭 상승하고 지방은 0.7% 하락하는 등 보합세를 예상했다.

건설산업연구원은 비슷한 시기에 발표한 '2017년 주택·부동산시장 전망'에서 수도권 보합, 지방 1.5% 감소 등 전국 주택매매가 0.8% 하락을 제시했다.

연구기관의 전망과 달리 주택매매가격이 강세를 띤 데에는 재건축·재개발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감정원이 지난달 건축연령별 매매가격 변동률을 조사한 자료에는 20년을 초과한 낡은 아파트와 단독주택의 상승폭이 0.14%와 0.29%로 가장 높았다.

전세가격은 연령이 낮을수록 가격 변동폭이 높았다. 다만 신규 공급이 집중됐던 아파트는 5년 이하 아파트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했다.















<출처: 한국감정원>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부활 등 악재에도 노후 주택 투자가 다시 고개를 치켜든 데에는 새 정부의 주택공약도 일정 부분 작용한 것으로 추정됐다.

문재인 정부는 대선기간 10조원대 규모의 도시재생 뉴딜로 노후주택을 지원하고 생활여건을 개선하겠다고 공약했다.

재임 기간으로만 따져도 50조원의 막대한 재원이 투입되는 만큼 개발차익에 대한 기대로 이어질 수 있는 부분이지만 구체적인 실행계획은 아직 윤곽이 드러나지 않았다.

한 학계 관계자는 "도시재생 뉴딜은 50조원의 막대한 재원이 투입된다는 것 외에 구체적인 내용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며 "대규모 투기 광풍을 불렀던 이전 정부의 뉴타운 사업과 차별화되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다른 주택업계 관계자는 "이 사업을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점도 주의해서 살펴봐야 한다"며 "지역 사회와 충분한 소통 속에 진행돼야 하는 도시재생 뉴딜이 자칫 기존 도시정비사업과 유사한 형태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spna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