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지연 기자 = 최근 시장금리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3년 국채금리가 50bp 상승할 경우 국내 증권사들이 채권부문에서 최대 7천615억원의 손실을 볼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3일 'KCMI 이슈브리핑'에서 "국내 증권사의 평균 금리 민감도가 0.84"라며 이같이 말했다.

증권사의 채권 보유 규모는 지난 1분기 기준 182조원에 달한다.

과거 분기 최대 금리 상승폭(67bp)만큼 금리가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증권사들의 최대손실은 1조220억원으로 불어난다.

이 연구위원은 "해당 손실금액은 최근 3년간 증권사의 연평균 영업이익인 3조3천억원보다 낮은 수준으로 국내 증권사가 충분히 감내할 수 있다"면서도 "금리 민감도가 높은 일부 소형사는 손실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최근 몇 년새 크게 늘어난 부동산 채무보증 역시 금리 상승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1분기 기준 국내 증권사의 채무보증 규모는 25조1천억원으로, 2010년 대비 4배 늘었다.

이 연구위원은 2011년 저축은행들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대규모 손실을 봤던 점을 상기시키며 당시와 같은 위기 상황 발생 시 증권사들이 최대 1조1천200억원의 손실을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때 신용위험 노출금액은 LTV 50% 이상인 부동산 PF 잔액 4조원, 부도확률과 부도시 회수율은 각각 20~40%, 30~50%로 가정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 손실금액은 국내 증권사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서도 "상위 5개 증권사가 전체 국내 증권사 채무보증의 65%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위기 상황 발생 시 특정 증권사의 손실이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단, 금리 상승이 주가와 거래대금 상승을 동반할 경우 위탁매매와 자산관리, 투자은행(IB) 등 증권사의 다른 사업부문에서는 오히려 수익이 날 것으로 분석됐다.

이 연구위원은 "시장금리 상승으로 자기매매 부문에서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타 사업부문의 수익으로 상쇄할 수 있다"면서도 "금리파생상품을 활용해 극단적 상황의 손실 위험을 줄이고, 자기자본 대비 채무보증 규모가 큰 증권사는 신규 노출금액을 줄이는 등 위험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jykim@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