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금리가 250bp 오르면 한국의 채무상환비율(DSR)이 3.7% 포인트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금리상승으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지면서 소비 및 투자 제약으로 연결될 우려가 제기된 것이다.

한국은행은 6일 '글로벌 부채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금융위기 이후 장기간의 저금리 환경을 바탕으로 늘어난 선진국 가계·정부부채와 신흥국 기업부채는 향후 성장을 제약할 수 있는 수준이다"고 밝혔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기업, 정부부채는 금융위기 이전 200% 내외에서 235% 수준까지 증가했다.

미국과 유로 지역 재정 취약국의 가계부채는 금융위기 이후 줄어들었다. 호주, 캐나다, 스웨덴 등 기타선진국은 위기 이후에도 별다른 조정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흥국의 가계부채는 중국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선진국보다는 아직 낮은 수준이라고 한은은 분석했다.

한편 금융위기 이후 정부부채는 선진국과 신흥국 모두 증가했다. 경기진작 및 복지수요 충당을 위한 정부지출 확대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WEF(World Economic Forum)에 따르면 부채 수준에 대한 경제주체별 임계치를 가계는 GDP 대비 75%, 기업은 80%, 정부는 90%로 산정했다. 이를 기반으로 스위스, 호주, 노르웨이, 캐나다, 한국, 스웨덴 등 국가의 가계부채 임계치가 75%를 상회했고, 동시에 최근 5년간 연평균 2%포인트 이상의 증가세를 기록했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한은은 미국 및 유로 지역 재정 취약국은 가계·기업부문의 디레버리징이 어느 정도 진전됐지만, 일부 선진국과 신흥국은 성장을 제약할 수 있는 수준으로 부채가 늘어났다고 평가했다.

미국은 가계부채 비율이 2000년 수준까지 낮아진 후 2016년 들어 소폭 반등하면서 디레버리징이 종료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됐다.

유로 지역 재정 취약국은 디레버리징이 더 이어질 것으로 한은은 전망했다. 고용 등 가계소득 여건이 취약하고 부실대출 비율도 높은 수준이기 때문이다.

한은은 "부채 증가는 소비 및 투자 촉진을 통해 경기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지만, 과도한 부채 수준은 원리금 상환 부담 등으로 국내 수요를 제약하고 금융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며 "세계 경제가 개선세를 보이는 만큼 소득증대에 의한 디레버리징, 한계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추진 등으로 부채 규모가 적정 수준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