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로 장기금융시장 활성화 필요

역모기지 등 자산유동화제도 늘려야



(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정부가 초장기채 공급을 늘려 장기금융자산 수요 확대에 따른 자산·부채 만기 불일치 위험을 완화하는 수단을 제공해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17일 내놓은 '인구 고령화가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BOK경제연구)' 보고서에서 "고령화로 연금 및 장기보험상품 가입이 증가하면서 금융기관의 초장기 채권 수요가 늘어나지만, 초장기로 채권을 발행할 기업은 많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한국의 생산가능인구가 2016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하면서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금융산업도 변화가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고령화는 장기금리를 낮추는 요인이 된다고 분석했다. 노후를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금 및 보험 자산을 늘리면서 장기자산의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게다가 저성장에 따른 인플레이션 리스크가 줄어드는 것도 장기금리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다.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노인부양률이 1%포인트 늘어날 경우 0.2%포인트, 65세 이상 인구비중이 1%포인트 증가 시 0.4%포인트, 75세 이상 인구비중이 1%포인트 늘어나면 0.5%포인트 각각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로 저금리가 장기화할 경우 가계는 주식투자나 펀드 등 수익성을 중시하는 자산의 비중을 늘릴 것으로 전망됐다.

고령화 진전 과정에서 자산운용업의 비중이 늘어나고 주식투자가 증가하면서 주가는 상승 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고서는 예측했다. 다만, 고령화에 따른 보수적 투자 행태는 주가의 과도한 상승을 막는 요인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고령화가 금융기관의 수익성 악화로 연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단기로 자금을 조달해서 장기로 운영하는 은행을 비롯해 보험사, 연기금이 모두 고령화 영향을 받을 것으로 진단했다.

금융기관은 저금리와 수익률 곡선 평탄화로 인한 수익성 악화에 대비해 해외진출 등 새로운 사업 모델을 정립하고 리스크관리를 강화하는 등 변화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국은 자산의 70%가량을 부동산으로 보유하고 있고, 앞으로도 실물자산 편중현상이 장기간 지속할 가능성에 대비해 실물자산 유동화 제도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한은은 진단했다.

한은은 "현재 역모기지 상품은 주택가격 변동과 기대수명 불확실성으로 활성화가 미흡하다"며 "생명보험과 연계된 하이브리드 주택연금, 주택시장지수 관련 파생상품을 도입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주택연금을 운영하면서 축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민간 역모기지 상품 개발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