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미란 오진우 기자 = 문재인 정부 초대 금융위원장에 김석동 전 위원장의 재등판 가능성이 급부상했다.

외교부장관 등 내각 인선의 국회 통과가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가 인사 검증을 깐깐하게 진행하면서 이미 검증을 마친 데다 능력도 인정받은 김 전 위원장에 손을 내민 모양새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연합인포맥스와의 통화에서 "(청와대의 제안에)깊이 고민하고 있다"며 재입각 가능성을 내비쳤다.

13일 관가에 따르면 청와대는 최근 금융위원장에 김 전 위원장을 재기용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김 전 위원장은 이명박 정부 말기인 지난 2011년부터 2013년 초까지 이미 금융위원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우리 관료 문화에서 이미 한차례 역임한 부처의 장관을 다시 맡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데다, 경제부처 수장 격인 경제부총리에 후배 관료인 김동연 부총리가 임명된 점을 고려하면 청와대의 영입 시도는 파격적이다.

당초 금융위원장 후보로는 김광수 전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 등이 유력하게 거론됐다. 시민단체 출신으로 개혁적 성향의 김기식·홍종학 전 의원, 이동걸 전 금융연구원장 등도 꾸준히 물망에 올랐다.

문 대통령의 여성 내각 30% 공약에 기인에 심인숙 중앙대 교수 등도 금융위원장 후보자로 거론되는 등 하마평이 무성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야심 차게 지명한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와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위장전입 이력 등으로 야당의 반발을 사면서 금융위원장 인사도 안갯속에 빠져들었다.

무성했던 하마평과 달리 11개 부처 장관과 공정위원장 후보자가 지명되는 동안 금융위원장 인선은 감감무소식이었다.

일부 인사의 경우 청문회 과정에서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가 청와대 안팎에서 제기됐다. 가계부채 관리와 구조조정 진행 등에서 고도의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금융위원장은 풍부한 경험을 갖춘 인물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힘을 얻었다.

김 전 위원장은 정통 금융관료로 금융실명제와 부동산실명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저축은행 사태 등 우리 경제의 주요 순간마다 대책반장을 맡아 '직업이 대책반장'이라는 별칭을 얻을 정도로 능력도 인정받았다. 특히 금융위원장 재직 시절에는 집무실에 가계부채 상황판을 설치하는 등 가계부채 관리에 열의를 보였다.

당시 김 전 위원장은 "가계부채를 생각하면 잠이 안 온다"는 발언을 남겼다. 가계부채 관리를 금융정책 1순위로 꼽은 문 대통령의 정책 방향과 일치한다.

이런 능력으로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등이 김 전 위원장에게 재등판을 수차례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위원장은 문 대통령의 경남중학교 1년 후배고, 장 실장과는 경기고등학교 동기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연합인포맥스와의 통화에서 "(청와대의 제안에) 깊이 고민하고 있다"고 답했다.

mrlee@yna.co.kr

jwoh@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