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노현우 기자 = 국내 경제 회복세의 '지속가능' 여부에 초점을 두고 살핀 통화정책 경로에 시장참가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기준금리 인상의 전제조건으로 경기 회복세의 '지속가능성(Sustainable)'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13일 서울 채권시장에 따르면 이 총재는 지난달 31일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치고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성장률이 잠재성장률을 웃돌고 물가도 목표 수준에 안착된다면 뚜렷한 성장세 기준에 어느 정도 충족은 한다고 볼 수 있지만, 그것보다 더 중시하는 것은 그러한 경기와 물가의 흐름이 지속적이냐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그는 간담회를 마치고 나서는 길에서도 최근 경제성장률 상향과 관련 금리 인상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통화정책 결정 관련) 시계가 있는데, 그 기간 서스테인어블한지가 중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 총재는 "저희가 3~5년 내다보고 (통화정책을 결정) 할 수는 없지 않나"라며 그 기간으로 대략 '2~3년'을 시사했다.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통화정책 결정에 참고하는 주요 경제지표의 추이를 고려할 때 한국은행이 당분간 기준금리를 올리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경제 성장세에 크게 기여한 건설투자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탄탄한 성장세를 유지하려면 수출과 소비 등 다른 부문에서 큰 폭의 개선이 이뤄져야 하는데 이를 기대하기 어려워서다.

물가 상승세도 견고하지 않은 모습이다. 8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2.6% 올랐지만,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4% 상승하는 데 그쳤다. 폭우 등 영향으로 채소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일시 상승한 것일 뿐 수요 확대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졌다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오석태 소시에테제네랄(SG) 이코노미스트는 "내년 건설투자의 도움을 받지 않고 2.9% 성장을 달성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며 "한국은행이 자신 있었다면 지금보다는 자신 있게 금리 올린다는 얘기를 할 텐데, 자신이 없는 것 아닌가 하는 느낌이 든다"고 말했다.

부동산과 가계부채를 잡기 위해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란 전망도 최근 약해진 분위기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일부 지역의 투기 과열을 막는 효과를 내고 있고, 다음 달 가계부채 대책 발표도 예고돼 있어서다.

권영선 노무라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가계부채발(發) 금리 인상 전망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대부분 금통위원은 규제와 거시건전성 정책(macro prudential)이 가계부채와 관련된 금융 시스템 리스크를 장기적으로 관리하는 데 충분하다고 볼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hwroh@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