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GDP 갭 마이너스 해소에 금통위원의 시선이 모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향후 통화정책 정상화 시기와 속도에 시장참가자들의 관심이 쏠렸다.

시장참가자들은 20일 금통위 의사록에서 금리 인상 시기와 관련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지기 시작했다며, 이주열 총재 임기 내에 금리를 인상할지가 중요해졌다고 진단했다.

한국은행은 지난 8월 31일 개최한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을 공개했다. 의사록에서 한 금통위원은 "GDP 갭이 제로(0)에 근접한 가운데 지난 수년간 1% 초반대 미만에 머무르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올해 2%에 근접하고 있는 점은 분명히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축소할 필요성이 높아졌음을 시사한다"고 매파적인 기조를 드러냈다.

반면 다른 금통위원은 가계부채 증가세의 연착륙 여부를 주시하는 한편, 기조적인 물가 상승세를 목표 수준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다른 금통위원들도 GDP 마이너스 갭 해소에 대해 여러 의견을 내놓았다. 한 위원은 GDP 갭 해소 시점이 더 빨라질지 느려질지 주의 깊게 살펴야 하고, 내년 이후의 경제 상황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어떤 위원은 GDP갭과 물가갭이 여전히 마이너스 상태에 있다며, 잠재성장률 하락이 GDP 갭을 축소하는 요인이라고도 언급했다.

GDP 갭 축소는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과거 금통위 기자간담회 등을 통해 경기회복세가 상당히 뚜렷해진다면 GDP 갭이 해소되는 시점이 빨라질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주열 총재가 완화 기조를 장기간 유지할 경우 금융 불균형이 심화할 수 있다고 언급하는 등 통화정책 정상화에 대한 깜빡이를 켠 후, 금통위원은 본격적으로 통화정책 정상화 시기에 대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두 명의 위원은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서야 한다고 언급하면서 매우 매파적인 성향을 보였고, 한 금통위원은 여전히 완화정책을 유지해야 한다며 반대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한은은 10월까지 판단을 유보하는 쪽을 선택했다. 의사록에 따르면 한은은 "지난 전망 이후 추경 집행에 따른 상반리스크와 중국 사드 갈등,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 증대 등 하방 위험의 변화가 있었다"며 "향후 리스크 요인의 전개양상을 면밀히 점검하여 10월에 다시 전망치를 발표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시장참가자들은 10월 금통위에서 향후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구체적인 시그널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일부는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한 여러 언급이 있었지만, 상황 설명에 그쳤을 뿐 직관이 담긴 전망이 없었다는 점은 아쉽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

한 증권사 채권 딜러는 "8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한 위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중립적이거나 매파적이었던걸로 보이고, 대부분 금리 인상 여건에 대해 언급을 하고 있었다는 점이 특이하다"며 "10월 금통위에서는 구체적인 시기 언급도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자산운용사 채권 운용역은 "금통위 의사록은 매파적이었는데, 청와대 발언 나온 후의 첫 금통위다 보니 그 의미가 일부는 훼손됐다"며 "몇몇을 제외하고는 뚜렷한 색깔이 없었다는 것은 아쉽다"고 말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