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현정 기자 = 미국의 금리 인상과 맞물려 시중은행들의 대출금리도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1천400조 원에 육박한 가계대출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한국은행도 긴축을 시사하는 언급을 내놓은터라 가계부채에 대한 부담을 떨어내기 위한 금융당국의 발걸음도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1.0∼1.2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미 금리 인상은 국내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밀어 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난 3월 미국 금리가 한 차례 인상됐을 때에도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며 최고금리가 5% 가까이 치솟았다.

이번 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 상승세에 가속도가 붙으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5%대를 돌파하는 것은 시간문제로 시장은 내다보고 있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이미 시중금리에 미국 금리 인상 예상분이 일정 부분 선반영된 측면이 있지만, 금융채 금리가 오르면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저절로 상승하게 된다"며 "시장 상황을 감안해 금리 인상 폭을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미국이 몇 차례 더 금리 인상을 시사한 만큼 중장기적으로 시장금리는 계속 오를 것"이라며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경우 가계부채 증가 속도를 잡기 힘들다는 인식이 깔린 것 같다"고 귀띔했다.대출금리가 오르면 빚을 진 사람들의 상환 부담은 그만큼 커지게 된다.

경기 회복이 더딘 상황에서 금리까지 오르면 갚아야 할 빚의 총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가계부채는 금리 인상기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하게 되면 결국 우리도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수 없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가계부채 이자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경우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의 이자 부담이 연간 42만 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저신용·다중채무자는 금리 인상의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이들 대부분이 은행보다 3~7배 고금리인 비은행 대출을 받아 사용하고 있어 연체·파산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저신용자 중 변동금리 대출자들이 많다는 점도 가계 빚 문제를 위태롭게 만들고 있다.

금융당국은 오는 8월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특히 최근 부동산 가격 급등과 맞물려 가계대출 문제가 더욱 부각할 수 있어 부동산 대책에 연동된 해결책이 먼저 나올 가능성이 있다.

금융당국 차원에서는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선별적으로 강화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주택담보대출이 많이 늘어난 일부 은행과 2금융권에 대해 구두 경고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했다"며 "올 하반기가 가계부채 관리의 최대 고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hj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