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장순환 기자 = 정보통신의 발달로 해킹 등 사이버 범죄의 피해가 늘어나면서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사이버보험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반면, 정보통신 강국으로 인터넷 보급률 등이 세계 최고 수준인 우리나라의 사이버보험 가입자 수는 미미해 제도 보완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2일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사이버보험 관련 원수보험료는 사이버 범죄 증가로 전년보다 34.7% 증가한 13억4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사이버보험은 랜섬웨어를 포함한 해킹 공격으로부터 발생하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보험이다.

정보유출에 따른 소송부터 보험가입자의 사업을 보호해 주거나 해킹으로 시스템이 멈췄을 때 시스템 복구 비용 및 영업 손실 등을 보상해 주는 상품 등이 있다.

미국은 지난해 총 29만8천728건의 해킹 피해 신고가 있었으며, 전년보다 24% 증가한 13억3천만 달러의 손실이 보고됐다.

이에 미국의 주요 보험사들은 사이버보험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시장 확대와 수익 창출의 효과를 보고 있다.

실제 사이버보험 손해율은 2015년 51.4%에서 2016년 46.9%로 4.5%포인트로 감소하며 수익성이 개선됐다.

박정희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최근 사이버 위험 노출과 사이버 공격으로 피해가 확대되고 있는 만큼 사이버보험이 미국의 손해보험산업 발전에 크게 이바지를 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우리나라 역시 2015년 770건에 불과했던 국내 랜섬웨어 상담 및 신고 건수는 올해 상반기에만 4천514건으로 급증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사이버보험 가입률은 2015년 기준 1.3%에 불과하고 최근에도 이러한 추세는 변하지 않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정보보호 관련 분야 예산을 편성한 사업체는 32.5%에 불과하고 정보보호 제품 구입(42.9%), 정보보호 서비스 구입(41.2%), 정보보호 인력 인건비(15.9%) 순으로 편성해 보험 등 피해 구제 예산 편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사이버보험 활성화를 막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보험업계에서는 상품 개발을 위한 데이터 부족을 가장 심각한 문제로 꼽고 있다. 자동차 보험과 달리 사고발생 확률 및 사고 시 평균 피해규모 등 보험료 산정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불필요한 비용으로 인식하거나 기업의 배상능력을 고려한 위자료 산정 관행 탓에 보험의 실효성에 우려가 있는 것도 시장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승준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사이버보험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련 통계 표준화 등의 문제를 정부가 주도적으로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국회에서도 사이버보험 제도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김경진 의원은 "사이버보험이 최종적으로는 자동차 보험처럼 보편화돼 국민 안전과 산업 생태계를 지키는 새로운 장치로 역할을 해야 한다"며 "올해 하반기에 국회 공청회 및 토론회를 개최해 정부와 기업, 보험사가 머리를 맞대어 사회적 인프라를 갖출 것"이라고 말했다.

shj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