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한용 기자 = 한국은행은 한일 통화스와프 논의가 재개되기 위해선 상황 변화가 있어야 해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한은은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당 이언주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서 "한일 통화스와프는 정치·외교적 사안과 별개로 다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우리의 기본 입장에도, 일본 정부가 부산 소녀상 설치를 문제 삼아 올해 1월 논의 중단을 일방적으로 공식 통보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진단했다.

한은은 한미 통화스와프와 관련해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유동성 경색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기축통화국 중앙은행들과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하고 있지만, 신흥국은 주요 기축통화국과 동등하게 대우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일 통화스와프는 2015년 2월에 중단됐고, 한미 통화스와프는 2010년 2월 만료됐다.

한은은 "그간 원화 국제화 제고와 금융안전망 강화를 위해 주요국과의 통화스와프 계약 체결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고 앞으로도 이러한 방침을 기본 방향으로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한국과 중국은 이달 13일 통화스와프 협정의 만기를 연장하는 데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한중 통화스와프 규모는 560억 달러 수준으로, 1천222억 달러 규모인 우리나라 전체 통화스와프 계약의 절반에 육박한다.

계약 상대방별로 자국통화(LC) 통화스와프는 중국 560억 달러, 인도네시아 100억 달러, 호주 77억 달러, 아랍에미리트(UAE) 54억 달러, 말레이시아 47억 달러 등이다.

나머지는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에 따른 미국 달러화 통화스와프 384억 달러다.

이중 아랍에미리트(UAE)와의 통화스와프는 작년 10월부터 현재까지 약 1년간 연장 협의 중이다.

한은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과의 통화스와프 계약 체결 및 규모 확대는 위기의 국내 확산을 방지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또 "한중, 한말련 통화스와프 자금 무역결제 지원제도를 도입해 경제협력은 물론 자국통화 무역결제 활성화 등에 기여했다"며 "CMI의 다자화 전환, 규모 확대, 위기예방기능 도입 등은 CMIM의 실효성 제고와 아세안+3 국가의 위기대응능력 강화에 기여했다"고 한은은 설명했다.

hylee@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