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김성진 기자 = 싱가포르개발은행(DBS)은 미국으로부터 외환정책을 주시하겠다는 경고를 받은 인도의 외환시장 개입이 앞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DBS는 23일 보고서에서 지정학적 우려와 글로벌 긴축정책 등으로 인도로의 해외 자금 유입이 둔화할 것이라면서 "이는 인도중앙은행(RBI)이 루피화를 억누르기 위해 개입에 나설 압력을 줄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도는 미국 재무부가 지난 17일(현지시간) 발표한 반기 환율보고서에서 관찰대상국(monitoring list)에 포함되지는 않았다.

미 재무부는 ▲현저한 대미 무역수지 흑자(200억달러 초과) ▲상당한 경상수지 흑자(GDP 대비 3% 초과) ▲외환시장에서의 한 방향 개입 여부(GDP 대비 순매수 비중 2% 초과) 등 세 가지 기준에 모두 해당할 경우 교역대상국을 환율조작국(심층분석 대상국)으로 지정한다.

3개 중 2개 항목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면 관찰대상국으로 분류한다.

인도는 대미 무역수지 흑자에서만 기준치를 넘어섰으나, 외환 순매수가 GDP의 1.8%로 크게 늘어나면서 미국의 주목을 받게 됐다.

재무부는 환율보고서에서 이 점을 거론한 뒤 "인도의 환율 및 거시경제 정책을 면밀히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DBS는 인도의 외환 순매수는 지난 4월 환율보고서에서는 GDP의 0.4%에 그쳤으나 올해 상반기 루피화 강세로 인해 '레드라인'인 GDP의 2%에 근접하게 됐다고 분석했다.

RBI가 루피화 강세를 억제하기 위해 개입에 나선 게 반영됐다는 것이다.

연합인포맥스의 통화별 등락별 비교화면(2116번)에 따르면 달러화 대비 루피화 가치는 올해 상반기 동안 5.15% 상승했다.

이번 환율보고서에서 인도는 GDP의 1.3%에 달하는 경상수지 적자를 낸 것으로 파악돼 기준치와 거리가 매우 먼 것으로 나타났다.

대미 무역흑자는 230억달러로 기준치 200억달러를 웃돌았으나, 중국(3천570억달러)과 일본(690억달러) 등 관찰대상국에 오른 다른 국가들에 비해서는 크게 작았다.

DBS는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인도가 관찰대상국에 공식 포함될 위험은 거의 없다"고 진단했다.







<美재무부 환율보고서의 항목별 평가(붉은색이 기준 초과)>

※자료: DBS

sjkim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