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황병극 기자 = 서비스산업 활성화가 수년째 경제정책 핵심과제로 꼽혀왔지만, 우리나라가 서비스업 R&D(연구·개발) 투자에는 소홀했던 것으로 지목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9일 '서비스산업 R&D 동향 및 효과와 정책적 시사점'이란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전체 민간 R&D 투자 중에서 서비스업 R&D 비중이 정상 수준에 크게 못 미치고, 그 비중도 꾸준히 낮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와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을 토대로 집계한 결과, 우리나라의 서비스업 R&D 비중이 정상 수준에 비해 크게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경연은 우리나라 민간 서비스업 R&D의 정상적인 비중을 33.2%로 추정했다.

그러나 지난 201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전체 민간 R&D에서 서비스업 R&D가 차지하는 비중은 8.1%에 불과했다. 우리나라 서비스업 R&D 비중이 정상 수준보다 25.1%포인트나 낮다는 분석이다.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도 우리나라 서비스업 R&D 비중은 부진했다.

주요 국가별로 전체 민간 R&D에서 차지하는 서비스업 R&D 비중을 보면 우리나라는 8.1%(2015년)를 기록했지만 미국(2014년)과 영국(2014년)은 30.1%와 58.9%에 달했다. 제조업 강국인 독일(2014년)과 일본(2015년)의 12.4%와 12.1%보다 낮았다.

더욱이 우리나라 민간 서비스업 R&D 비중의 추세도 다른 선진국과 달리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서비스업 R&D 비중은 지난 2000년 10.1%에서 2015년 8.1%로 2.0%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일본은 2000년 6.7%에서 2015년 12.1%로 증가했고, 같은 기간 독일도 8.3%에서 12.4%로 증가세를 보였다.

한경연은 서비스업 R&D 활성화는 서비스업 혁신을 통해 경제의 서비스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기준으로 서비스업 R&D 비중이 1%포인트 증가할 때마다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은 0.19%포인트 늘어난다고 주장했다.

이태규 한경연 연구위원은 "고용 효과가 높은 서비스업의 부가가치 비중이 높아진다는 것은 더 많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는 의미"라며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 0.19%포인트 증가는 우리나라의 경우 2015년 기준으로 서비스업에서 4만4천명의 추가적인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뜻한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업 R&D 활성화 정책을 시작했으나 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며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비즈니스 서비스업처럼 부가가치 창출 효과가 높고 다른 산업과의 연계성이 강한 서비스업 분야를 우선적 정책대상으로 삼고 R&D 활성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eco@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