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고유권 기자 =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은 "외국통화표시채무가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별히 주의하고 있으며, 심각한 자본의 유입과 유출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고 차관은 15일 기재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아시아 외환위기 20년 후'를 주제로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공동으로 개최한 '2017 글로벌 금융안정 콘퍼런스' 개회사에서 1997년 외환위기를 겪은 아시아 국가 중 홍콩을 제외하고 어떤 국가도 자국 통화를 미국 달러와 연동해 운용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아시아 외환위기를 겪은 나라들은 대부분 경상수지 적자국에서 흑자국이 되는 등 많은 교훈을 가슴에 새기며 다양한 조치와 노력을 해 왔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그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가공할만한 위기를 경험했다면서, "만약 새로운 금융위기가 발생한다면 현재의 금융안정 정책과 조치들이 아시아와 기타 지역 신흥시장을 보호하기에 충분히 강력한가라는 더 어려운 질문을 던졌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세상 어떤 꽃도 바람을 피할 수 없으며 바람이 불면 꽃은 흔들리고, 비가 내리면 꽃이 젖지 않을 수 없듯이 위기는 언제나 어디에서나 사전예고 없이 다가오고 우리에게 영향을 미쳐왔고 또한 미치게 될 것이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두 번에 걸친 금융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했지만, 우리는 또다시 심한 폭풍우가 오더라도 충분히 맞설 수 있는 준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 차관은 "현재 세계 경제가 회복 모멘텀을 유지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안심해서는 안 된다"면서 "낮은 생산성과 높은 금융 취약성, 정책 여력의 감소, 대외 조정에서의 어려움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해 내기 위해 글로벌 금융안전망의 역할을 강화하고, 선진국의 통화정책이 신흥국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인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진국이 시행한 확장적 통화정책은 역사적으로 유례가 없는 것이라며 "신흥국 시장에서 변동성을 감소하기 위한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본자유화규약 개정 과정에서 주요 20개국(G20) 회원국 다수의 목소리가 반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구조개혁을 적절히 시행하고 디지털화에 따른 생산성 증대를 위한 혁신을 도모하는 동시에 금융 포용성을 포함한 포용적 성장 장책도 추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pisces738@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