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정부의 전방위 주택규제에 지역경기 침체가 겹치면서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전셋값이 하락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까지 가시화되면서 금융비용 부담과 수급 우려도 커지고 있다.

22일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전세가격지수는 104.1을 기록했다. 지난 8월부터 전국 전세가격지수는 104대를 나타내고 있다. 2년 새 2.56%가 상승했다.





주택가격 상승세와 함께 전셋값도 올랐지만, 수도권과 지방의 온도 차가 크다.

서울과 수도권은 2년간 전셋값이 각각 4.99%, 4.31% 뛰었다. 이 기간 지방권은 1.09% 오르는 데 그쳤다. 지방 광역시와 제주도를 빼면 전셋값 상승률은 0.05%로 낮아진다.

일부 지역은 하락세가 눈에 띈다. 지난 8·2 부동산 대책에서 투기과열지구 및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세종시는 2년간 전셋값이 4.5% 빠졌다. 올해 2월에 전셋값이 정점이다가 줄곧 내리막이다.

지난 9월 투기과열지구에 들어간 대구 수성구의 전셋값도 0.6% 빠졌다. 주거환경이 다소 열악한 주택은 전셋값을 덜 받아야 할 처지다. 대구는 이외 서구, 북구, 달서구, 달성군에서도 전세가격지수가 2년 전보다 내려왔다.

이외 지방에서는 충남과 경북, 경남이 전셋값이 부진하다. 충남은 1.6%, 경북은 1.88% 떨어졌다. 경남은 1.1% 하락했다. 울산광역시는 동구(-7.61%)와 북구(-0.69)만 전셋값이 내렸는데 동구의 하락률은 전국 최고다.

오는 30일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커지면서 임차인과 임대인이 모두 금융비용이 늘어날 처지다. 이번에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2011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전세로 다주택을 유지하던 주택 소유자는 신용대출 등의 부담으로 수급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세종시로 임차인이 빠져나가는 충남이나 지역 경기가 침체한 경상권 등이 주된 모니터링 지역인 셈이다.

허윤경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경북과 경남, 충남 등은 역전세 리스크가 확대했는데 매매가격 대비 전셋값 비율도 내려가면서 신규 임대임은 자기자본을 더 투입해야 할 가능성이 커졌다"며 "내년에도 준공물량이 다수가 존재해 어려움이 심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