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새 정부 들어 정책수행의 핵심역할로 떠오르고 있다. 도시재생과 주거복지로드맵 등 주거 공공성 강조에 한동안 중단되다시피 했던 토지 개발과 주택 공급이 재개되는 까닭이다. 재무구조 개선으로 쌓인 여력과 축적된 토지·주택 사업 노하우가 필요하다는 새 정부의 정책적 판단이 뒷받침됐다.

4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LH의 총부채는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130조5천57억원으로 집계됐다. 반년 만에 무려 3조원가량을 줄였다. 지난 2013년에 140조원대까지 오른 이후로 감소세로 전환한 점도 눈에 띈다.

부채 감소보다 부채비율이 더 빠르게 감소했다.

순이익이 쌓이면서 자본이 축적됐기 때문이다. LH는 작년에 2조2천37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 올해도 상반기에만 1조6천46억원의 순이익을 추가했다.





3년 새 LH의 자본은 8조원 이상 늘었고 부채비율은 이제 200%대를 바라보고 있다.

정부는 경영실적평가보고서에서 "LH는 경영혁신, 조직 및 인적자원 관리, 재무예산 관리 측면에서 바람직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며 "부채비율이 낮아지면서 중장기 재무관리계획이행실적 지표는 만점을 득점했다"고 평가했다.

실탄이 넉넉해진 시점에서 정권이 교체되며 LH가 역량을 발휘할 여건도 조성됐다.

문재인 정부는 임기 내 50조원을 투자하는 도시재생 사업과 100만호를 목표로 하는 공적 주택 공급을 수행하는 공기업으로 LH를 선정했다.

새 정부의 정책과제 수행으로 LH의 부채는 오는 2021년에 139조원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지금보다 약 9조원이 추가되는데 정부가 중장기 재무계획을 관리하는 38개 공공기관의 증가분 3분의 1을 차지한다. 단일기관 증가분으로는 한국전력공사(13조1천억원) 다음으로 많다.

부채가 늘면 금융비용도 따라서 올라간다. LH는 올해 이자로만 825억원을 썼다. 이자수익보다 100억원가량 많다. 지난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시장금리가 상승하는 국면이라고 보면 부채 증가에 부담이 더해지는 셈이다.

그럼에도 유동성 우려는 크지 않다. 차입 기간 1년 미만의 단기차입금 의존도를 2013년 10.24%에서 올해 7%대로 낮췄기 때문이다. 정책사업 자금조달과 만기 조절의 묘수가 중요해지는 이유다.

정부의 공적 주택 100만호 중 공공임대주택은 총 65만호(준공기준) 수준이다. LH의 공공주택관리사업은 작년에 8천440억원의 영업적자를 냈다. 금융비용이 추가된 당기순손실은 1조1천706억원까지 불어난다.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지만 누적되는 주택관리 적자에 대한 고민은 필요하다.

국토부 관계자는 "LH가 보유한 민간택지 매각을 늘릴 것이고 임대주택 사업의 비용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는 부분도 있다"며 "주거복지로드맵의 특징은 LH가 비수익성 사업만 떠안는 것이 아니다"고 전했다.

jhlee2@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