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창업콘서트 참석…"금융권 모험정신 부족, 기술기반 대출 확대"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지서 기자 =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국민연금기금의 코스닥 투자 비중과 관련해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한 바 없다고 선을 그었다.

최 위원장은 4일 강남구에 있는 은행권청년창업재단 중심지 디 캠프(D.CAMP)에서 열린 '청년창업콘서트'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국민연금이 코스닥 투자를 10%로 확대하도록 하겠다는 말을 한 적 없다"며 "연기금의 코스닥 투자를 늘리는 방향으로 유인하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시 국민연금이 코스피는 10% 투자하는 데 코스닥은 2% 정도밖에 안 된다고 했다는 것뿐"이라며 "투자 목표치를 국민연금이 밝힌 수는 없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서 혁신성장 방안을 만들 때 포함됐던 내용도 연기금의 코스닥 투자를 늘리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수준이었다"고 해명했다.

앞서 최 위원장은 국민연금의 코스닥 투자 확대를 언급하자 일각에서 이를 코스피 수준인 10%까지 늘리도록 하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이에 김성주 국민연금 이사장은 지난 22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민연금의 모든 투자지침은 기금운용위원회에서 결정한다며 코스닥 투자를 10%로 확대하는 계획을 세운 바 없다고 언급했다.

가상통화 거래소 인가제 도입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

최 위원장은 "(가상통화 거래소 인가제 도입은) 안 할 것 같다"며 "주체가 여러 생각이 있겠지만, 투자자 보호를 위한 규제를 어떻게 할 것인지 보고 그쪽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 행사에 참석해 금융권의 부족한 모험정신을 지적하며 기술력 등 무형의 가치를 평가한 기업대출을 늘리겠다고도 밝혔다.

최 위원장은 "일시적인 자본 잠식을 이유로 기술력 있는 기업이 대출을 받지 못하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며 "그간 외부에서 평가했던 기술력 심사를 은행이 내재화해 충분한 자금을 적극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11월 발표한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 방안을 통해 혁신창업에 친화적인 환경 조성과 벤처투자금 증대, 창업과 투자의 선순환 체계 구축 계획을 마련했다"며 "이를 위해 정책금융기관과 금융기관이 선도적으로 추진 과제를 차질없이 이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저 같은 공직자나 금융업계에 몸담은 분들은 여러분에 비하면 편안하고 안일한 인생을 살아서 모험정신이 부족하다"며 "모험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공공기관의 법인대표자 연대보증 전면 폐지는 내년 1분기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경우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 지역신용보증재단, 그리고 중소기업진흥공단 등을 통해 대출을 받은 창업가 연대보증 폐지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생산적 금융의 관점에서 혁신창업이 갖는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우리 경제는 혁신성장을 통한 도약의 전환점을 마련해야 한다"며 "창업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통로로 우리 경제의 성장 기반을 구축하는 성장 전략"이라고 말했다.

이어 "혁신성장의 출발은 참신한 아이디어가 자라나 사업화하고 새로운 산업이 되는 것"이라며 "두려움 없이 창업하고 실패하더라도 재도약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혁신창업국가의 중요한 첫걸음"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는 신용보증기금이사장과 창업가, 액셀러레이터 등 약 50인이 참석했다.

최 위원장은 청년창업가과 액셀러레이터의 창업 성공 경험을 공유했다.

액셀러레이터는 잠재력 있는 창업기업을 발굴하고, 이들에 대한 투자나 컨설팅, 멘토링 등을 통해 성장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우리 경제가 대기업 중심의 의존도에 벗어나기 위해서 혁신창업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는 사회 전반의 분위기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창업에 실패하더라도 재도전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여건 형성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창업가가 아이디어 개발과 사업화에만 매진할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명확하게 정비하고 환경 변화에 맞는 탄력적인 해석이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특히 창업기업에 대한 전통적인 금융심사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아이디어와 기술이 결합한 무형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심사기준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jsjeo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