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기자 = 한국은행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에도 외국인의 한국 금융시장 투자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 변화가 예상보다 급격하게 이루어질 경우 자본유출입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은 있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22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2017년 6월)'에서 ▲민간부문의 부채 누증 ▲비은행금융기관의 취약성 ▲신흥시장국의 자본유출 가능성을 글로벌 금융안정관련 잠재리스크로 꼽았다.

한은은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신흥시장국 자본유출에 미치는 영향은 과거와 다르다고 진단했다.

미국이 점진적으로 금리를 정상화하고 있고 신흥시장국의 성장세가 회복 기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신흥시장국 주식의 저평가, 기업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도 과거 테이퍼텐트럼 당시와 다른 점이다.

한국의 경우 외국인 증권투자자금은 올해 5월까지 205억달러가 순유입됐다.







외국인의 주식투자자금은 유입으로 시가총액 대비 비중은 33.5%를 기록해 전년말(31.7%) 대비 1.8%포인트 상승했다. 채권투자자금 역시 102조2천억원으로 전체 발행잔액 대비 6.2%를 기록했다. 지난해 말(5.6%) 대비 0.6%포인트 올랐다.

한은은 "향후에도 자금 유입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연준의 금리인상과 보유자산 축소 등의 과정에서 자본유출입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에 유의해야한다"고 말했다.

한은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민간부문의 부채가 크게 증가한 것도 금융안정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민간부문 부채 증가는 향후 금리 상승시에 가계와 기업의 채무상환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외화차입을 포함한 과다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신흥시장국 기업의 경우 금리와 환율상승 리스크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은은 진단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에 비해 규제가 느슨하게 적용된 비은행금융기관의 취약성도 금융안정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됐다.

비은행금융기관은 고수익 자산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등 적극적으로 리스크를 추구하면서 빠르게 성장했다. 그러나 향후 금리가 상승할 경우 비은행금융기관이 자산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한은은 평가했다.

syjeon@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