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인포맥스) 전소영 강수지 기자 = 한국은행은 지난 수년 동안 저금리 상황에 적응해 왔던 경제주체들이 향후 금융·경제상황 변화에 어떤 행태를 보일지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고 밝혔다.

한은은 22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2017년 6월)'에서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은 대내외 여건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되면서 안정된 모습을 이어갔지만 가계부채 누증에 따른 취약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가계부채는 올해 1분기 말 1천359조7천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1.1% 늘어났다. 금융자산 대비 부채비율은 45.8%로 2010년~2016년중 평균인 45.5% 수준을 유지했다. 한은은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은 전반적으로 양호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소득 개선이 부진한 상황에서 향후 시장금리가 상승할 경우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채무상환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한은은 진단했다.

현재 신용등급 평가 방식은 채무상환이력 정보에 높은 가중치를 두고 있는데, 금리 상승으로 연체율이 상승할 경우 개인 신용등급의 전반적인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신용등급이 하락할 경우 더 높은 가산금리를 적용받으면서 채무상환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의미다.

취약계층의 채무상환능력 약화는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과 수익성 저하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한은은 우려했다.

특히 지난 수년간 저금리 하에서 수익률 추구를 강화해 온 일부 업권의 경우 금리상승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고, 취약계층 차주의 비중이 높은 비은행금융기관의 가계대출 건전성이 낮아질 가능성도 있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2014년 이후 가계부채가 많이 늘었는데 원리금 상환 부담 측면에서 위험가구 수와 부채가 많이 늘었다"며 "전반적으로 금리가 하향안정화되면서 신용등급 측면에서 연체율이 하락하면서 고신용차주가 많아졌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가계부채 누증에 따른 통화정책 대응방향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단, 가계부채 해결책으로 정책금리 조정을 직접적인 해결방안으로 제시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허진호 한은 부총재보는 "통화 완화 정책기조가 결과적으로 가계부채를 늘리는 쪽으로 작용했다"며 "통화정책은 경제와 물가, 금융안정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우선순위를 둘지 결정한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시스템이 대내외 충격을 감내할 수 있는 능력은 양호한 상태를 지속했다. 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 모두 자본적정성 비율이 규제수준을 크게 상회했다.

전반적인 금융시스템 상황을 보여주는 금융안정지수(FSI)는 2017년 5월 중 2.8로 주의 단계인 8.0을 크게 하회했다.







우리나라의 대외지급능력은 전반적으로 양호하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대외채권에서 대외채무를 제외한 순대외채권은 대외채권이 늘어나면서 증가 흐름이 이어졌다. 올해 1분기 말 순대외채권은 4천74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8.1% 늘어났다.

명목 경제성장률(GDP) 대비 대외채무 비율은 1분기 28.2%로 전년동기(28.5%)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달 말 3천785억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 외화자산 운용수익이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미 달러 약세에 따른 기타통화 표시 외화자산의 달러화 환산액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외환보유액 구성도 유가증권 92.6%, 예치금 4.9%로 높은 유동성과 안전성을 유지했다.





syjeon@yna.co.kr

sskang@yna.co.kr

(끝)
저작권자 ©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